X

서울시, 열악한 저소득층 집 수리한다…지원금액·항목 확대

김형환 기자I 2023.01.24 11:15:00

‘희망의 집수리’ 사업 대상 600가구 모집
중위소득 60% 이하인 자가·임차가구 대상
지원항목 늘어나고 지원금 60만원 늘어나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서울시가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저소득 가구를 위해 수리비를 지원한다.

‘희망의 집수리’ 사업에 참여한 가구의 전후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다음달 1일부터 한 달간 저소득층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희망의 집수리’ 사업에 참여할 600가구를 모집한다고 24일 밝혔다. 올해부터는 가구당 지원금액이 늘었을 뿐만 아니라 침수·화재 등에 대비한 안전·환기시설까지 설치할 수 있도록 공사 항목이 추가됐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2009년부터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과 주거복지를 위해 ‘희망의 집수리’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해까지 총 1만8000여 가구가 혜택을 받았다.

이번 사업은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인 자가 또는 임차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소득요건을 충족하는 가구 중 반지하 가구를 우선으로 지원 대상 가구를 최종 선정한다. 자가의 경우 해당 주택에 거주 중이어야 신청할 수 있다. 단 기준 중위소득 47%이하인 가구는 수선유지급여 지급대상이므로 지원하지 않는다. 또 주택법 상 ‘주택’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지원가능하기 때문에 고시원 등 준주택이나 무허가 건물은 신청할 수 없다.

지원하는 집수리 항목은 도배·장판·창호 교체·천장 보수·곰팡이 제거 등 총 17종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폭우로 반지하 침수 등의 피해가 컸던 점을 고려해 반지하 주택을 대상으로 ‘침수예방’과 ‘안전·환기시설’을 신규 항목으로 추가했다. 반지하 주택의 경우 환풍기 설치도 가능하다.

서울시는 지난해까지 최대 120만원 지금하던 지원금액을 180만원으로 조정했다. 지난해 사업참여가구 만족도 조사와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해 지원금액을 높였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지원대상 가구 선정이 끝나는 대로 시공에 들어갈 수 있도록 2월 공모를 통해 집수리 사업수행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집수리 분야 전문성뿐 아니라 각 주택 및 가구별 여건을 이해하고, 주거환경 개선의 사업취지에 공감하는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해당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가구는 거주지 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서류를 작성, 제출하면 된다. 서울시는 3월 중 심사를 거쳐 최종 대상가구를 선정, 이르면 4월부터 본격적인 수리에 들어갈 예정이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그동안 ‘희망의 집수리’ 사업을 통해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였던 저소득 가구의 보금자리가 한결 쾌적하고 안전해졌다”며 “앞으로도 주거취약게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 안전한 생활을 보장하는 주거안전망 확충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