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8월 소비자물가 3.4%↑…3개월 만에 다시 3%대(상보)

공지유 기자I 2023.09.05 08:40:12

석유류 전년比 11%↓…하락폭 절반 이상 축소
폭염·호우 등 영향에 농축수산물 물가 2.7%↑
9월에도 추석, 기상여건 등으로 3%대 가능성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대비 3.4% 오르면서 3개월 만에 다시 3%대에 진입했다. 폭염·폭우 등 영향에 농축수산물 물가가 오르고, 석유류 가격 하락세도 주춤하면서 물가를 끌어올리는 원인이 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추석 성수기 수요가 증가하는 사과, 배 등 과일 가격은 1년 전보다 높은 반면, 배추, 무 등 채소류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사진=연합뉴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100)으로 전년동월대비 3.4% 상승했다. 전월 대비로는 1.0%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2.7%를 기록하고 7월에도 2.3%로 상승폭이 둔화하다가 지난달 3.4% 오르면서 3개월 만에 다시 3%대를 상회했다. 7월 대비 상승폭은 2000년 9월(1.1%포인트) 이후 약 23년 만에 최대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둔화했지만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석유류 하락폭이 크게 축소됐고, 폭염과 호우 등 기상여건으로 농산물 물가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지난달에 비해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전월보다 1.1%포인트 오른 것 중 석유류 물가 하락폭 축소 영향이 80%를 차지했다는 설명이다. 8월 석유류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1% 하락했는데, 하락폭이 7월(-25.9%)의 절반 이상 줄었다.

지난달 폭염과 호우 등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했다. 농산물은 전년동월대비 5.4% 뛰었다. 이 중 채소류는 전월보다는 16.5% 오르고 전년동월 대비로는 1.1% 하락했다. 수산물 물가는 1년 전보가 5.8% 뛰었다.

소비 부진 등 영향에 외식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폭은 둔화했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4.3% 오르면서 7월(4.7%)보다 상승폭이 둔화했다. 외식물가 역시 7월 5.9%에서 지난달 5.3%로 상승폭이 꺾였다. 외식물가는 2021년 12월 4.8%를 기록한 이후 20개월 만에 최저 상승폭을 보였다.

계절적 요인이나 외부 충격에 따른 변동성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3.9% 오르며 전월과 같은 수준이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같은 기간 3.3% 상승하면서 전월(3.3%)과 같았다. 김 심의관은 “근원물가는 전월과 같은 수준으로 이번달 물가상승이 기조적 물가흐름으로 변동됐다기보다는 (기상여건 등) 일시적 요인에 의한 변동이었다”고 설명했다.

이번달에도 추석 등 물가 상승 요인이 남아 있어 물가상승률이 3%를 넘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최근 물가 추이와 관련해 “8~9월엔 (물가 상승률이) 3%를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10월부터는 빠르게 안정돼 2%대로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