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미글로벌, 반도체·2차전지 사업 구조적 성장…네옴시티는 +α-SK

양지윤 기자I 2023.06.21 08:33:37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SK증권은 21일 한미글로벌에 대해 반도체, 2 차전지 등 하이테크 사업부가 구조적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의견,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한미글로벌(053690)의 20일 종가는 3만3100원이다.

허선재 SK증권 연구원은 “한미글로벌의 하이테크 사업부는 풀캐파 운영, 수익성이 좋은 프로젝트 위주로 선별 수주 중”이라며 “현재 총 8 개의 네옴시티 관련 프로젝트 수주로 본격적인 대규모 수주는 내년 1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글로벌은 1996년 설립, 2009년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 건설사업관리(PM) 기업이다. 현재 국내 포함 50 개 이상 국가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한미글로벌의 주요 역할은 발주자의 권한을 위임 받아 건설공사의 시작단계부터 설계사, 시공사 간의 이해관계 조정 및 기술 컨설팅을 제공한다. 지난해 기준 사업 부문별 매출 비중은 하이테크 (국내 반도체·2 차전지) 30%, 국내 (데이터센터·고층빌딩 등) 30%, 글로벌 (해외 하이테크·네옴시티 등) 40% 등이다.

허 연구원은 한미글로벌의 하이테크 사업부가 구조적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했다. 이 회사의 하이테크 사업부는 반도체와 2 차전지 제조공장 PM 업무를 담당하며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국내 배터리 3사 등이다.

그는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LG화학 미국 양극재 공장 등 다수의 하이테크 프로젝트를 꾸준히 수주하고 있으며 향후 국내 반도체, 2차전지 업체들의 시설 투자 확대 흐름과 함께 하이테크 사업부의 구조적 성장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현재 하이테크 사업부는 유휴인력 5% 수준으로 풀캐파 운영 중이기 때문에 수익성이 좋은 프로젝트 위주로 선별 수주 중이라는 설명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관련 사업에도 주목했다. 한미글로벌은 현재 네옴시티 (더라인) e-PMO (2021년, 26억원), 로쉰 주거단지 (2022년, 155억원), DGDA (2022년, 440 억원), 네옴시티 건설근로자 숙소단지 (2022~2023년) 등 네옴시티 관련 총 8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그는 “본격적인 대규모 수주는 내년 1분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총 사업비 650조원 규모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사우디 왕세자가 주도하는 ‘비전 2030’ 프로젝트(1550조원)의 핵심 사업중 하나이기 때문에 꾸준히 관심 갖을 필요가 크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