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코로나 구직 한파에…상반기 퇴사율도 감소

김호준 기자I 2020.07.13 07:47:55

사람인, 기업 305개사 조사

(자료=사람인)
[이데일리 김호준 기자]코로나19가 촉발한 경기 불황과 경영난으로 직장인 10명 중 7명이 이직을 미룬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퇴사율 역시 작년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305개사를 대상으로 ‘상반기 퇴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의 올해 상반기 평균 퇴사율은 9.5%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들 기업의 작년 평균 퇴사율은 11.9%로 올해는 이보다 2.4%포인트(p)하락했다.

실제로 작년과 비교한 퇴사율 변화에 대해서는 ‘감소’(30.2%)했다는 응답이 ‘증가’(17%)했다는 답변의 2배 가까이로 나타났다. ‘동일’했다는 응답은 52.8%였다.

이들 기업들은 퇴사율이 감소한 원인으로 단연 ‘코로나19에 따른 채용 시장 경색으로 이직 시도 감소’(63%,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연봉, 복리후생 등 처우가 개선’(22.8%), ‘불확실성으로 창업보다 월급 선호’(21.7%), ‘자유롭고 편안한 기업문화’(14.1%), ‘확고한 회사 비전과 성장 가능성’(13%)을 들었다.

이렇게 퇴사율이 줄어든 데 대해서는 10곳 중 9곳(89.1%)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퇴사율 감소가 긍정적인 이유는 ‘인력 운용 계획을 체계적으로 짤 수 있어서’(54.9%, 복수응답), ‘교육 비용을 절감하고 숙련도를 제고할 수 있어서’(42.7%), ‘채용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37.8%),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어서’(23.2%) 등의 순이었다.

반면, 올해 상반기 퇴사율이 늘어난 기업들(52개사)은 그 원인으로 ‘회사 실적과 재무상태 악화’(38.5%,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업황이 나쁘고 개선이 쉽지 않음’(19.2%), ‘초과근무 증가 등 근무 환경이 나빠짐’(17.3%), ‘무급휴직 등으로 월급 감소’(15.4%), ‘희망퇴직 실시 등 고용이 불안함’(9.6%)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특히, 퇴사율이 늘어난 기업의 절반(46.2%) 가량은 올 상반기 구인난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퇴사율이 줄거나(41.3%) 동일한(34.2%) 기업이 구인난을 겪는 비율보다 높은 수치로, 퇴사가 많아진 기업은 인력 유출과 충원의 어려움이라는 이중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