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중 구속'에도 팬들 지지 여전…"정치권 이슈 은폐 의도 아니길"

이용성 기자I 2024.05.25 14:22:33

팬덤, 성명문…"사람은 미워하지 말라"
"김호중, 다시 피어오를 날 학수고대"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음주 뺑소니’ 혐의로 가수 김호중이 구속됐지만, 그의 팬덤은 “정치권의 이슈를 은폐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었기를 바란다”며 여전히 김씨를 믿고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음주 뺑소니 혐의를 받는 가수 김호중이 지난 24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나와 호송차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5일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내 ‘김호중 갤러리’에는 전날 팬들의 성명문이 올라왔다. 이는 김호중의 구속영장이 발부된 직후 올라온 성명문이다.

김씨의 팬들은 “법원에서 김호중의 구속영장을 발부한 것과 관련해 팬들은 재판부 판단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면서도 “죄는 미워해도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 있듯이 김호중의 ‘마지막 자존심’을 지키고자 노심초사하는 마음으로 응원하고 있는 팬들의 진심을 너무 곡해하지 말아 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특히 “‘마라톤 생중계’를 연상케 하듯 수사 과정이 일거수일투족 언론에 노출된 부분에 대해서는 심히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부디 김호중을 향한 수사 기관의 날카로운 칼날이 ‘정치권의 이슈를 은폐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었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들은 “훗날 김호중이 다시금 피어오를 그날을 학수고대하겠다”고 했다.

앞서 김씨의 팬들은 김씨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지를 보내온 바 있다. 특히 김씨의 음주운전 논란이 불거진 뒤인 지난 20일 김씨의 공연에서 수천장에 달하는 취소표가 나왔지만 일부 팬덤은 표 값을 부담해가며 취소 표를 수백개 추가 예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씨의 공식 팬카페 ‘트바로티’에는 “별님을 믿는다”, “콘서트 취소 표를 추가 예매했다”는 글이 잇따르기도 했다.

또한, 지난 23일 유튜버 ‘카라큘라’가 김씨로부터 학폭 피해를 당했다는 경북예고 출신 피해자와의 인터뷰를 공개하자 “맞은 놈이 말이 많네. 한 번쯤은 나를 돌아보고 살아라”, “왜 조용히 있다가 이 시기에 또 한 사람 죽이자는 거냐” 등의 악성 댓글이 줄줄이 올라왔다. 카라큘라는 자신의 채널 커뮤니티를 통해 “가수 김호중의 팬클럽 회원들로 추정되는 분들께서 어제 올라간 영상 댓글 창에 우르르 몰려왔다”며 “도를 넘은 그릇된 팬심으로 학폭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를 자행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앞서 김씨는 지난 9일 오후 11시40분쯤 술을 마신 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도로에서 마주 오던 택시와 충돌하는 사고를 낸 뒤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고 자리를 떠난 혐의를 받는다. 이 과정에서 김씨는 자신은 술을 마시지 않았다고 했다가, 매니저가 자신이 운전대를 잡았다는 등의 말을 바꿔가며 허위 자백을 했고, 예정된 공연을 강행했다.

논란이 커지자 김씨는 지난 19일 입장문을 통해 음주운전을 포함한 모든 혐의를 인정하며 국민 앞에 소상히 밝히겠다고 했다. 그러나 지난 21일 김씨는 특정범죄가중처벌법(도주치상)·도로교통법(사고 후 미조치) 위반 혐의 등으로 경찰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취재진의 눈을 피해 지하 주차장으로 출석했다. 조사를 마치고 나오면서도 취재진의 포토라인 등을 문제 삼으며 6시간 동안 경찰서에서 빠져나오지 않아 스스로 논란을 키웠다. 당시 그는 “죄인이 무슨 말이 필요하겠나”라며 “조사를 잘 받았고 남은 조사가 있으면 성실히 받도록 하겠다”고 잘라 말했다.

이후 경찰은 김씨를 비롯해 그의 소속사 생각엔터테인먼트의 이광득 대표는 매니저에게 허위 자수를 지시한 혐의(범인도피교사), 본부장 전모씨는 김호중 차량의 블랙박스 메모리카드를 제거한 혐의(증거인멸 등) 등으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신영희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증거 인멸 염려를 이유로 세 사람 모두에게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특히 구속 심사에서 신 부장판사는 김씨에게 “똑같은 사람인데 김호중은 처벌받으면 안 되고, 막내 매니저는 처벌받아도 괜찮은 것이냐”며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