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옥수수·쌀 전부 상승…세 달 연속 곡물 가격 오름세

황병서 기자I 2024.06.08 11:21:00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 120.4…전월 比 0.9% ↑
설탕·팜유·육류 가격지수는 하락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세계식량가격이 석 달째 상승세를 보였다.

한 소비자가 마트에서 밀가루 코너에서 장을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0.4로 전월과 비교해 0.9% 상승했다.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올해 1월 117.7에서 2월 117.4로 감소했으나 3월 119.0, 4월 119.3, 5월 120.4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FAO는 곡물·유지류·육류·설탕 등 5개 품목군별로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집계해 발표한다. 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놓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다.

품목별로 보면 지난달 곡물 가격지수는 118.7로, 전월과 비교해 6.3% 올랐다. 곡물 중에서는 밀 가격이 가장 크게 상승했다. 주요 수출국에서 올해 작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흑해 지역 항구 시설이 파손된 것이 영향을 끼쳤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의 병충해 발생과 브라질의 기상 악화 여파로 가격이 올랐다. 국제 쌀 가격은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에서 인디카종 쌀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승했다.

유제품 가격지수는 126.0으로, 1.8% 올랐다. 오세아니아에서 계절적 요인으로 우유 생산이 줄었다. 서유럽에서는 우유 생산량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서유럽에서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유제품 수요가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중동과 북미 지역에서 수요가 증가한 점도 유제품 가격 상승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반면, 설탕은 브라질에서 원활하게 수확이 시작됐고 수출 여력이 높아지면서 가격지수가 117.1로 7.5% 감소했다. 국제 원유가격 하락도 설탕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유지류 가격지수는 127.8로, 2.4% 감소했다. 대두유, 유채씨유, 해바라기씨유 가격은 올랐지만, 팜유 가격은 크게 떨어져 전체 유지류 가격이 감소했다. 팜유 가격 하락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계절적 요인으로 생산량이 늘었으나 국제 수입 수요가 저조했기 때문이다. 대두유 가격은 브라질의 바이오연료용 수요 증가로 상승했다. 해바라기씨유는 흑해 지역에서 계절적 요인으로 수출이 감소해 가격이 올랐다. 유채씨유는 공급량이 감소할 것이란 전망에 따라 가격이 상승했다.

육류 가격지수는 116.6으로 0.2% 감소했다. 가금육은 주요 생산국의 내수 위축으로 가격이 내려갔고 소고기 가격은 수입 수요 둔화와 오세아니아 국가의 수출 가능 물량 확대로 하락했다. 돼지고기 가격은 수요 회복과 공급량 부족 탓에 상승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