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카카오 김정호 "욕설 보도로 인격살인 당해…방어 위해 글 올려"

한광범 기자I 2023.12.04 08:51:39

3일 사내게시판에 글 올려…스스로 징계도 요청
"해명차원…지금 생각해보면 문제 있을 수 있어"
"위축되지 않고 발본색원해 회사 리뉴얼할 것"

카카오 외부 감시기구인 ‘준법과 신뢰위원회’ 참여한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동그라미 왼쪽)과 김정호 경영지원총괄(동그라미 오른쪽). (사진=카카오)
[성남=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소셜미디어를 통해 카카오 경영실태를 폭로한 김정호 경영기획총괄이 욕설 언론 보도로 인격살인을 당해 방어를 하기 위해 폭로를 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그는 스스로 카카오 내부 규칙 위반을 인정하며 징계를 요청했다.

김 총괄은 지난 3일 사내 게시판에 올린 글을 통해 “(욕설 언론보도로) 완벽하게 인격살인 당했다. 당시에 저를 적극 방어하기 위해 페이스북에 글도 올리고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적극 해명했다”면서도 “지금 생각해 보면 이게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저 스스로 윤리위원회에 저에 대한 징계 여부를 요청했다”며 “‘100대0 원칙’을 위반했다”고 했다. 카카오의 내부 원칙 중 ‘100대0 원칙’은 ‘카카오 내부에서는 모든 정보를 공유하고(100%) 외부에 대해서는 절대적으로 보안을 유지하자(0%)’는 의미다. 그는 “(징계 요청은) 저 스스로 결정한 것으로 공식 절차에 따라 진행될 것이며 결과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달 30일 김 총괄의 폭로와 관련해 폭로 내용에 대해선 준법경영실과 외부기관인 법무법인이 참여해 조사를 진행하기로 했고, 김 총괄의 욕설·폭언에 대해선 외부기관인 법무법인이 단독으로 조사를 하기로 했다. 김 총괄에 대한 외부 조사는 “공정성과 객관성을 위해 외부 법무법인에 조사 의뢰해야 한다”는 윤리위 차원의 건의를 수용한 것이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과의 관계 등을 고려한 조치다.

김 총괄은 카카오 구성원들에게 “걱정 끼친 점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움츠러들거나 위축되지 않고 계속 (쇄신을) 추진해서 발본색원하고 회사를 리뉴얼하겠다”고 경영쇄신 의지는 분명히 했다.

네이버 공동창업자…김범수 간곡 요청에 ‘쇄신’ 위해 합류

네이버 공동창업자인 김 총괄은 네이버 등에서 함께 근무한 30년 지기인 김범수 위원장의 간곡한 요청을 받고 카카오 내부 혁신 작업을 위해 지난 9월 중순 카카오에 합류했다. 네이버를 떠난 후 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기업 운영에 전념해 온 그는 카카오 합류 후 급여를 사실상 받지 않고 있다.

그는 김 위원장과 주요 공동체 CEO들이 참석하는 경영쇄신위원회는 물론, 독립된 외부 감시 기구인 준법위에도 모두 참여한 유일한 카카오 내부 인사일 정도로 김 위원장의 높은 신임을 받고 있다.

김 총괄은 지난달 22일 제주도 본사 유휴 부지를 이용한 ‘제주도 프로젝트’ 관련 임원 회의 과정에서 “이런 개X신 같은 문화가 어디 있나”라고 욕설을 했다. 해당 내용은 지난달 28일 익명 커뮤니티를 통해 외부로 알려지며 언론에 보도됐다.

김 총괄은 언론 보도 당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당시 욕설 사실을 인정하며 ‘업무 관행의 문제점을 지적하다가 나온 한 번의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그는 장문의 글을 통해 욕설이 나오게 된 배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카카오 내부의 경영 실태의 문제점을 폭로했다.

그는 공사대금이 최대 800억원에 달하는 업체를 특정 임원이 결재나 합의도 없이 선정하는 등 경영과 관련된 잘못된 관행을 지적하다 나온 실수라고 해명했다. 그리고 해당 발언 직후 회의 참석자들에게 세 차례 사과했다고 전했다.

김 총괄은 하루 뒤에도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의 승인을 받고 시작한 ‘법인 골프회원권’ 매각 과정에서 겪었던 내부 반발을 언급하며 “두 달간 정말 전쟁 수준의 갈등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주말 저녁에도 골프의 필요성에 대한 하소연 전화가 이어졌다. 심지어 ‘브랜든(김 총괄 영문명)은 골프를 안 쳐봐서 이쪽에 대해 뭘 모르는 거 같다. 답답하네 정말’(이라는 얘기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카카오 부동산 개발을 총괄하는 자산개발실 오지훈 부사장과 직원 11명은 카카오 내부 전산망에 올린 공동 입장문을 통해 시공사 선정 과정이 공정하게 이뤄졌으며, 제주도 프로젝트 관련해서도 배재현 투자총괄대표 등의 결재를 모두 거쳤다고 반박하며 김 총괄 주장을 모두 부인했다.

위기의 카카오

- 카카오, 인적쇄신 신호탄…48세 여성 정신아 대표 내정(종합) - 카카오, 새 대표에 정신아 내정…"변화 이끌 적임자"(상보) - [속보]카카오, 신임 대표에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 내정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