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영국 찾은 홍남기 “MSCI 선진국지수 편입 본격 재추진”

이명철 기자I 2021.11.02 08:24:41

현지 대면 한국경제 설명회 개최 “편입 당위성 충분”
“K-드라마 오징어게임처럼 한국경제도 우수한 성과”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 가계부채·부동산 등 리스크 관리”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한국 증시와 관련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DM) 편입을 본격 재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1일(현지시각) 영국 런던 코린시아 호텔에서 열린 한국 경제 설명회(IR)에서 “한국경제의 위상과 해외투자자 인식을 고려 시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당위성은 충분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코린시아 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제설명회(IR)에서 기조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기재부)


현재 한국 증시는 MSCI 신흥국지수(EM)에 편입돼있다. DM 편입 시 세계적인 기관들의 투자 자금이 유입돼 한국 증시의 규모 또한 커질 것으로 예상돼 업계에서 지속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대면으로 열린 IR에서도 한국의 MSCI지수 DM 편입에 대한 투자자들의 질의가 나왔다. 이에 홍 부총리는 MSCI DM 편입 추진 방침을 알리고 MSCI측과도 적극 협의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 자리에는 홍콩상하이은행(HSBC), JP모건, 슈로더, 골드만삭스 등 런던 소재 글로벌 투자은행(IB)과 자산운용사 등의 임원급 인사 20여명이 참석했다.

홍 부총리는 기조 발표인 ‘한국경제: 팬데믹 극복의 K-드라마(Korean Economy: A K-drama about Winning over the Pandemi)’를 통해 최근 전세계 흥행을 거둔 ‘오징어 게임’을 소개하며 K-드라마의 성과처럼 한국 경제도 우수한 경제 회복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강조했다.

팬데믹 극복 성과와 장·단기 정책 대응 방향은 △성공적 경제 방역 △완전한 회복을 위한 노력 △팬데믹 이후 미래 대비 세가지 에피소드로 나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우수한 방역체계, 효율적 재정·통화정책 등으로 다른나라보다 팬데믹 충격으로부터 빠르게 회복 중이고 재정건전성도 양호한 수준”이라며 “경상흑자 지속, 국가신용등급 유지 등 견조한 대외건전성, 기업친화적 경제여건과 높은 혁신역량도 회복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수출·투자·소비·고용은 회복세지만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과 가계부채 등 리스크도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홍 부총리는 “신속한 백신 보급과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 완화적 거시정책 기조 유지, 취약부문 중심 지원 확대 등으로 대응하고 가계부채·부동산가격 등 리스크도 관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팬데믹 이후에는 사회·경제적 변화와 고령화 등에 대응해 한국판 뉴딜, 탄소중립, 신산업육성, 저출산・고령화 대책, 사회안전망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코린시아 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제설명회(IR)에 투자자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기재부)


질의응답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 중장기 성장전략, MSCI DM지수 편입 등 이슈가 나왔다.

홍 부총리는 공급망 차질에 대해 국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면서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신설 등을 통해 전략·제도적으로 대응하고 원자재 수급관리 등 현장 애로사항 해소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답했다.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한국판 뉴딜, 유망신산업 육성, 탄소중립 경제로의 구조 전환을 소개하고 서비스 산업 육성도 지속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한 출산율 제고방안과 외국인인력·고령층·여성인력 활용도 제고 등 적응력 강화방안을 병행 추진 중임을 소개했다.

재정과 관련해서는 한국 국가채무 규모가 주요국대비 양호한 편이지만 재정준칙 마련 등을 통한 중장기 지속 가능성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가계부채·양극화 문제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증가율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고 실수요자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팬데믹 상황 양극화 해소를 위해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고용보험 가입 확대 등 고용·사회안전망 강화를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