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용호상박 우리는 맞수]B형간염 치료제, 내성을 막아라 ‘바라크루드’ VS ‘비리어드’

강경훈 기자I 2019.03.16 07:45:11

기존약 내성 70%에 달해…완치 불가능
바라크루드, 단일 약 기준 국내 최대 매출 기록
비리어드, 임상시험서 내성환자 ‘0명’ 기록

[이데일리 강경훈 기자] 국내 간암의 가장 큰 원인은 B형간염이다. 간암 환자 4명 중 3명은 B형간염에서 암이 시작된다. 간암을 잡으려면 B형간염을 잡아야 하는 이유. 하지만 B형간염 바이러스는 없앨 수 없다.워낙 변이가 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B형간염 바이러스의 활동을 억제하는 약을 쓴다.

기존 바이러스 약은 내성이 쉽게 생겼다. 1년 내성률은 15~40%, 5년 내성률은 60~70%에 달했다. 2007년 내성을 획기적으로 줄인 약이 등장했다. 바로 ‘바라크루드’(BMS·사진)다. 임상시험에서 바이러스 억제율 94%, 6년 누적 내성발생률 1.2%을 보였다. 출시 이후 실제 처방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는 임상시험보다 더 결과가 좋았다. 바라크루드는 당시 있던 수 많은 약들을 평정했다. 바라크루드 출시로 B형간염은 불치병에서 관리가 가능한 병으로 위치가 바뀌었다. 바라크루드는 2014년 186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단일 약제 기준 국내 최대 매출 기록이다. 어지간한 국내 제약사 전체 매출에 맞먹는 매출을 약 하나로 올린 것이다.

독주체제를 구축할 줄 알았던 바라크루드도 경쟁약을 만났다. 바로 ‘비리어드’(길리어드·사진)다. 임상시험 중에 내성이 생긴 사람이 단 한 명도 없었다. 국내에는 2012년 출시했다. 두 약은 B형간염 진단 후 처음 쓰는 약으로 학회의 권고를 받는 것을 비롯해 기존 약에 내성이 생긴 환자들이 약을 바꿀 때 쓰는 약으로도 함께 권고를 받는 등 경쟁체제를 지속적으로 구축했다.

바라크루드는 2015년 특허가 만료되고 복제약들이 수십 종 출시되면서 매출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바라크루드 매출은 724억원. 전성기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회사 측에 따르면 처방량 자체는 크게 차이가 없다. 질병 특성 상 내성 위험이 있어 함부로 약을 바꾸지 않기 때문.

비리어드는 지난해 149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비리어드도 2017년 물질특허 만료로 경쟁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약가가 인하되면서 매출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