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매파’ 보먼 연준 이사 “인플레 상승 리스크..금리인상 의향도 있다”(종합)

김상윤 기자I 2024.06.26 07:46:42

"금리 인하 적절 시점 이르지 못해"
"공급측면서 경제 추가 개선 가능성 낮아"
리사 쿡 연준 이사 “어느 시점 금리인하 적절"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에서 ‘매파’(통화긴축 선호)로 꼽히는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25일(현지시간) 인플레이션 전망에 여러 상승 리스크가 있다며 당분간 금리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둔화하지 않을 경우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 (사진=AFP)
보먼 이사는 이날 영국 런던에서 열린 공개행사에서 “아직 금리를 인하할 적절한 시점에 이르지 못했다”며 “경제 전망에 대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할 대 향후 정책 전환에 신중한 접근 방식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먼 이사는 줄곧 올해 금리인하가 쉽지 않다고 보며 ‘매의 발톱’을 드러내고 있다. 그는 이날도 “올해 금리인하를 예상하지 않는다”며 “이를 향후로 미뤘다”고 언급했다. 이달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공개한 점도표(금리 전망표)에서 올해 금리동결을 전망한 이사가 총 4명이었는데, 이중 한명이 보먼 이사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여전히 인플레이션 전망에 여러 상승 리스크가 있다고 봤다. 보먼 이사는 “팬데믹 시대의 공급망 혼란은 대부분 해결됐고, 최근 몇달간 노동력 참여가 제한적으로 증가했던 점을 고려하면 경제가 공급측면에서 추가로 개선될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임금상승, 지정학적 위기, 재정 부양책, 금융여건 완화 등이 인플레이션 전망에 추가적인 잠재적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보먼 이사는 특히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도 거론했다. 그는 “정책 금리를 너무 일찍 또는 너무 빨리 인하하면 인플레이션이 반등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2%로 회복하려면 정책금리를 추가로 인상해야 한다”며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멈추거나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반등한다면 기준금리를 인상할 의향이 여전히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보먼 이사의 기본 시나리오는 아니지만, 최근 들어 금리인상 카드까지 언급한 유일한 이사다.

리사 쿡 연준 이사 (사진=AFP)
◇리사 쿡 연준 이사 “어느 시점 금리인하 적절…시기는 불분명”

반면 리사 쿡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는 올해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어느 시점에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보먼 이사와 차이를 보였다.

쿡 이사는 이날 뉴욕 이코노믹 클럽 행사에서 연설로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진전되고 고용시장이 점차 냉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어느 시점에 경제의 건강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정책 제약 수준을 줄이는 게 적절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조정 시기는 경제 데이터가 어떻게 진전되는지, 경제 전망과 위험 균형에 있어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쿡 이사는 인플레이션은 향후 3~6개월 동안 ‘울퉁불퉁한 경로’를 따라 지속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내년에 인플레이션이 더 급격히 둔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주택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신규 임대료 둔화를 반영해 하락하고, 근원 상품 물가는 약간 마이너스를 유지하며 주택을 제외한 근원 서비스 물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간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온 노동시장에 대해선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 수준과 유사하며 “타이트하지만 과열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