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러 ‘카스퍼스키’ 소프트웨어 판매 금지…“안보 위협”

김윤지 기자I 2024.06.21 08:06:49

상무장관 “러 정부 영향력, 위험 초래”
9월부터 발효…“빠른 교체 권고”
“적대국에 접근 권한 넘기지 않을것”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미국 정부가 20일(현지시간)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러시아 업체 카스퍼스키의 컴퓨터 백신 프로그램 및 사이버 보안 제품·서비스에 대한 미국 내 판매를 금지했다.

카스퍼스키 로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나 러몬도 미 상무부 장관은 이날 화상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카스퍼스키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영향력이 중대한 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러시아는 미국인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무기화하기 위해 카스퍼스키와 같은 러시아 기업들을 이용하려는 능력과 의도를 보여줬다”면서 “그것이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가 해당 백신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의 민감한 정보를 훔치거나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중요한 업데이트를 보류하는 방식으로 위협을 강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은 2018년 연방정부에서 카스퍼스키 제품 사용을 금지했는데 이제는 민간에서도 사용할 수 없게 됐다. 이는 제품 업데이트 등을 포함하며 기업이나 개인이 대안을 찾을 시간을 고려해 오는 9월 29일부터 발효된다. 미국 상무부는 카스퍼스키 제품을 계속 사용하는 개인이나 기업이 법적 처벌을 받는 것은 아니나 사용에 따른 위험이 있어 다른 제품으로 교체할 것을 권했다.

로이터는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 정부가 카스퍼스키 백신 프로그램에서 비롯된 러시아 사이버 공격의 위험을 제거하고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계속해서 강화하려는 의도”라면서 “미국이 러시아에 가할 수 있는 새로운 제재가 부족해진 상황에서 나온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 정부가 러시아와 중국과 같은 ‘적대국’의 정보기술(IT) 기업들과 미국 간 거래를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상원 정보위원회 위원장인 민주당 소속 마크 워너 상원의원은 “우리는 결코 적대국에게 우리의 네트워크나 장치에 대한 열쇠를 넘겨주지 않을 것”이라면서 “러시아산 백신 프로그램이 미국인들에게 판매되도록 계속 허용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