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T CEO 후보자들, 인물평 들어보니…이사회 역할론 기대

김현아 기자I 2023.07.29 17:11:24

①차상균, 글로벌 경험 강점·기업경영 부족은 약점
②김영섭, LG실적 이끈 강점·KT 조직관리는 걱정
③박윤영, 혁신 리더십 강점·내부 출신은 부담
가짜뉴스 지라시 난무, 이사회가 제 역할 해야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왼쪽부터 차상균 서울대 교수, 김영섭 전 LG CNS 사장, 박윤영 전 KT 사장이다. 나이순.


KT가 차상균 서울대 교수(‘58년생), 김영섭 전 LG CNS 사장(’59년생), 박윤영 전 KT 사장(‘62년생)을 KT 대표이사(CEO) 심층면접 후보자로 발표하자, 이들에 대한 지라시가 난무하고 있다. 하지만, 지라시는 대부분 특정 세력이 스토리로 엮기 위해 내용을 갖다 붙이는 경우가 많아 믿기 어렵다.

차상균, 김영섭, 박윤영 3명은 어떤 사람들일까. 지인들에게 물었더니 평가가 갈렸다. 다만, 강점과 약점을 보는 눈은 비슷했다.

①글로벌 경험 강점·기업경영 부족은 약점

차상균 서울대 교수는 인공지능(AI)의 원료가 되는 데이터 전문가인데다, 글로벌시장에 대한 경험이 있다는 게 강점이다. 2000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팀(TIM)사를 창업하고 HANA를 개발해 전사적자원관리(ERP)업체 SAP에 매각했다. 여전히 실리콘벨리 벤처 캐피탈을 자문하고 있다.

기업경영 경험이 경쟁자들보다 부족하다는 점과 셋 후보 중 가장 많은 나이는 약점이다. 이석채 회장 시절과 황창규 회장 시절 한동안 KT사외이사를 했지만, 교수로 활동한 시간이 많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일한 A씨는 “이번엔 젊은 분이 됐으면 한다”고 했다.

②LG실적 이끈 강점·KT 조직관리는 걱정

김영섭 전 LG CNS 사장은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와 IT서비스 업체 LG CNS CEO를 지내면서 실적 향상을 이끈 성공 경험이 강점이다. 재무통으로 불리지만, 2019년 선제로 ‘클라우드 퍼스트’를 선언하며 LG CNS 체질을 확 바꿨다. 능력을 인정 받아 LG CNS CEO로서 8년 이상 일했다.

다만, KT에서의 리더십 문제는 갈린다. LG 관계자는 “통신 경험이 없다 하는데 한학에 조예가 깊어 지휘자처럼 조직 관리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했고, KT 관계자는 “규모가 다르지 않나. 임기가 2년 7개월이어서 KT를 알아가는데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걱정했다.

③혁신 리더십 강점·내부 출신은 부담

박윤영 전 KT 사장은 MZ세대 직원들에게 인기다. 익명앱 ‘블라인드’ 에서 “KT 직원들이 원하는 CEO는” 조사 결과 65%로 2위(17%)와 격차가 컸다. 융합기술원 미래사업개발그룹장 등을 지내면서 창의적인 성향이란 평가다. 네이버 KT주주모임 카페에는 박 후보가 돼야 주가 부양이 이뤄질 것이라는 글이 많다.

기업가치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장점에도 KT 내부 출신이라는 건 부담이다. 새 이사회가 새 정관에 따라 철저하게 심사해 뽑았지만, “정부가 인정해줄까”하는 우려도 여전하다. KT 관계자는 “정부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입증해야 하는 숙제가 있다”고 했다.

가짜뉴스 지라시 난무, 이사회가 제 역할 해야

한편 CEO 후보자들을 두고 각종 지라시가 난무해 훌륭한 CEO를 뽑으려는 KT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과기정통부 고위 관료 출신은 “3명 후보자들에 대해 대표적 지라시가 5가지 정도인데 이제라도 과기정통부 장관 역할이 필요하다. 누군가가 꾸중하고, 직접 대통령께 보고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세 후보들의 강점과 약점이 달라 누가 최종 후보자가 되느냐에는 프리젠테이션(PT) 결과가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그만큼 이사회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업계 관계자는 “KT는 우리나라 유무선 통신망을 운영하는 최대 기간통신사업자이자 생성형AI 시대를 이끌 대한민국 대표 IT기업중 하나”라면서 “그간 상처가 적지 않았으니 훌륭한 CEO를 뽑을 수 있도록 이사회의 제대로 된 역할과 강력한 의지를 기대한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