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선 캐스팅보트 충청 표심은?…여·야 박빙속 지역민심도 ‘오리무중’

박진환 기자I 2022.01.30 11:43:51

행정수도·과학수도 및 공공기관 이전 등 주요 공약들 '비슷'
공약 차별성 떨어지면서 특정 정당·후보 쏠림현상도 사라져
권역별TV토론회 등 지역현안 이해할 제도적장치 마련 시급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여·야 대선 후보들의 지지율 격차가 박빙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번 대선의 최대 승부처가 될 충청권 표심도 안갯속이다. 각 당 대선후보의 충청권 공약에 차별성이 떨어지면서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 대한 쏠림현상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들의 충청권 공약을 보면 과학수도 완성 및 첨단산업벨트 조성, 행정수도 완성,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 등이 주요 공약으로 제시됐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1월 21일 오후 대전 서구 오페라웨딩홀에서 열린 대전 선대위 필승결의대회에서 ‘청년들의 구원투수’ 유니폼을 입고 시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우선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최근 충청권을 방문한 자리에서 ‘충청의 아들’임을 자처하며, 충청 대망론을 자극했다. 충남 공약으로는 충남 삽교역과 대전역을 잇는 충청 내륙철도를 건설하고, 충남 서산에서 경북 울진까지 연결되는 중부권 동서 횡단철도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서산 공군비행장 인프라를 활용한 민간 공항을 신설하는 방안을 거론했으며, 내포신도시의 탄소중립 시범도시 지정 및 공공기관 이전을 비롯해 천안의 성환 종축장 이전 부지에 첨단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아산에 국립경찰병원을 설립하는 등 국립병원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수도권과의 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가로림만 생태계를 되살려 국가 해양 정원을 조성하는 내용도 공약에 포함했다. 대전을 방문해서는 ‘4차 산업혁명 특별시’를 기본으로 한 과학수도 공약을 발표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항공우주청 신설과 관련해서는 항우청은 경남에 방위사업청은 대전에 이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가 1월 19일 국민의당 대전시당에서 지역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도 지난 19일 대전을 방문해 “대전을 과학특별자치시로 지정하고 대한민국의 과학 수도로 육성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세종시에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차기 정부에서 신설될 항공우주청도 대전 지역에 한데 모으겠다고 약속했다. 안 후보는 “대전을 첨단 과학기술 공급지와 기술기반산업 육성의 메카로 만들겠다”며 “과학 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 대전광역시 명칭을 대전과학특별자치시로 바꿔 위상과 권한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과학기술 정부 부처와 관련 공공기관도 대전으로 이전하기로 했다. 현재 세종시에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전도 공언했다. 항공우주청과 관련해서는 “당연히 대전에 있어야 한다”며 “우주국방 혁신클러스터와 바이오헬스클러스터를 대전에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충청을 아직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행정수도 완성 및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첨단산업벨트 조성 등을 충청권 7대 공약으로 제시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월 1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학기술인이 묻고, 이재명이 답하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초청 과학기술 정책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각 당의 후보들이 저마다 충청권의 획기적 도약을 공언했지만 공약을 보면 대부분 대동소이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이는 각 시·도당에서 지역의 굵직한 현안문제를 중심으로 중앙당에 건의하는 방식으로 후보들의 지역 공약이 비슷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큰 지역현안을 먼저 공약화하기 때문에 차별화 공약이 부족해진다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정치권 인사들은 “후보간 공약의 차별화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각 지역별 현안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실천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중앙 차원에서 이뤄지는 후보들의 TV토론회 등이 각 지역별로도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