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정부, MS·오픈AI·엔비디아 반독점에 칼 뽑았다

최정희 기자I 2024.06.08 10:53:54

법무부, 연방거래위원회 반독점 조사 합의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미국 법무부와 우리나라 공정거래위원회에 해당하는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오픈AI를 상대로 반독점 조사를 실시키로 합의했다. 인공지능(AI)에는 엄청난 자본력, 데이터 등이 필요한 만큼 이미 시장을 지배하는 몇몇 기업에 우위를 점할 수 밖에 없는 강한 이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거대 기술 기업이 인공지능(AI) 모델 훈련에 사용되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부터 생성AI가 창의적인 작업에 미치는 영향, 잠재적으로 사용되는 회사간 파트너십 등 AI에 대한 다양한 우려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법무부는 엔비디아가 독점금지법을 위반했는지 조사하고 FTC는 오픈AI와 마이크로소트프의 영업 행위를 조사할 방침이다.

엔비디아는 AI 학습 핵심 반도체인 AI 가속기 시장에서 약 98%를 점유하고 있다. AI 가속기는 대당 가격이 5000만원을 웃돌고 있다. 오픈AI의 경우 ‘생성형 AI GPT’를 개발한 회사로 가장 앞선 AI 모델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AI의 최대 투자자는 지분을 49% 보유한 마이크로소프트다. 유럽연합(EU) 규제 당국도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의 최대주주가 된 것이 반독점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 기술을 자사 워드와 엑셀 같은 오피스 프로그램에 적용하고 AI분야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스타트업인 ‘인플레션 AI’와 6억 5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FTC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합병 공개 요구 사항을 피하기 위한 행위로 계약을 맺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인플렉션의 모델을 사용하고 공동창업자를 포함한 대부분의 직원을 고용할 수 있도록 계약을 맺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3일 성명을 통해 “인플렉션과의 계약이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에 대한 작업을 가속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인플렉션이 AI 스튜디오로서 독립적 사업과 야망을 계속 추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밝혔다.

FTC는 1월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등에 생성AI 회사 및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와 관련된 최근 투자 및 파트너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명령한 바 있다.

조너선 캔터 법무부 독점금지국장은 최근 열린 AI컨퍼런스에서 “AI에는 잠시 멈춰야 할 구조와 추세가 있다”며 “이 기술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컴퓨터 성능에 의존하므로 이미 지배적인 기업에 상당한 이점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법무부와 연방거래위원회가 반독점 조사에 나선 것은 거대 기술 기업들의 권력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보기에 거대 기술 기업들의 기술력 독점이 국가 안보, 보안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계감이 깔려 있다는 해석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