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企 77.3% "입사 1년 내 퇴사 신입사원 있다"

김호준 기자I 2020.03.19 08:00:04

조기퇴사자 절반 이상이 입사 후 3개월 이내 퇴사

(사진=잡코리아)
[이데일리 김호준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1년 이내 퇴사한 신입사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지난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중소기업 543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조기퇴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먼저 ‘입사한 지 1년 이내에 퇴사한 신입사원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77.3%가 ‘있다’고 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5곳 중 약 4곳이 조기퇴사한 신입사원이 있다고 답한 것.

이들 기업이 밝힌 신입사원 조기퇴사율은 평균 20.2%로 나타났다. 지난해 입사한 신입사원 중 퇴사한 직원의 비율을 개방형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기업 평균이 20.2%로 집계된 것이다.

이들 조기퇴사자의 절반은 ‘입사 후 3개월 이내’에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조기퇴사자의 근무기간을 조사한 결과 ‘입사 후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에 퇴사한 신입사원이 37.6%로 가장 많았고, ‘입사 후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 27.6%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또 ‘입사 후 한 달 안에’ 퇴사한 신입사원도 17.6%로 적지 않았다.

퇴사 이유 중에는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거나’ 또는 ‘조직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퇴사를 결심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외에는 △과도한 업무로 스트레스가 높아서 △상사나 동료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서 △복지제도에 만족하지 못해서 등도 퇴사 이유로 꼽았다.

신입사원 조기퇴사자가 발생한 직무 중에는 ‘영업·영업관리’와 ‘생산·기술·현장직’이 가장 많았다. 신입사원의 조기퇴사를 막기 위해 기업들은 ‘선배의 멘토링’, ‘복지제도 개선’, ‘업무조정’등 다양한 제안을 한다고 답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