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반도체 가격상승세 지속…삼성전자·SK하이닉스 영업이익 43조↑”

원다연 기자I 2024.01.24 07:40:52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올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합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3조원 이상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 응용처의 출하가 늘어나며 D램과 낸드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24일 보고서를 통해 “올해 D램과 낸드의 평균판매가격은 전년대비 각각 46%, 29%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지난해 하반기 가격 반등에 성공한 D램과 낸드의 평균판매가격은 올 4분기까지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이는 HBM, DDR5 등 스페셜티 D램 출하 증가로 평균 계약가격의 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상반기 스마트 폰, PC업체들의 메모리 재고 축적 수요, 하반기에는 재고조정을 완료한 북미 CSP 업체들의 메모리 재고 축적이 재개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상반기 D램 감산을 완화해도 올해 D램 수요는 공급을 3.6% 상회할 것으로 추정되고, 낸드 수요도 공급 대비 5.9%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하반기 D램 생산라인을 풀가동해도 D램 생산능력은 2022년 최대 생산능력의 80% 미만 수준으로 추정되어 실질 생산량이 사실상 줄어들고, 낸드의 경우 이르면 올 4분기부터 감산 전략에 변화를 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올해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합산 영업이익은 D램과 낸드의 평균판매가격 상승과 스페셜티 D램 출하 증가로 전년대비 43조원 손익 개선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라며 “전 응용처의 출하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서버 AI, 온디바이스 AI 수요처 다변화에 따른 시장 확대가 메모리 및 파운드리 가동률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편 오픈AI CEO 샘 올트먼의 방한과 관련해 “오픈AI는 TSMC, 인텔 외에 자체 서버 AI 반도체를 AI 파운드리 생태계와 공동 개발 중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