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천안·광명·태백·경산’…‘스마트 도시’로 거듭난다

박지애 기자I 2024.06.23 11:00:00

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거점형 1개, 강소형 3개 지자체 선정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국토교통부는 ‘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거점형은 충남 천안시 1개소, 강소형은 경기 광명시, 강원 태백시, 경북 경산시 등 3개소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24년 스마트 도시 조성사업에 선정된 천안 총괄계획안 (그래픽=국토교통부)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지자체와 민간기업 등이 함께 기존 도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획기적인 서비스를 찾고 만들어 나가는 사업이다.

올해는 2개 유형(거점형, 강소형)으로 나누어 공모 접수를 했다. 우선 ‘거점형’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개발해 스마트도시 확산을 이끌어 갈 스마트 거점을 조성했으며 ‘강소형’은 기후위기·지역소멸 등 환경변화에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한 특화 솔루션이 집약된 도시를 조성하고자 했다.

거점형으로 선정된 천안시는 충청권 메가시티를 견인할 스마트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역세권 혁신지구,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캠퍼스 혁신파크 일원을 민간 친화적 스마트도시로 조성하고자 한다.

강소형으로 선정된 광명시(기후위기 대응형), 태백시(지역소멸 대응형), 경산시(지역소멸 대응형)에는 3년간 각 국비 80억원(지방비 1:1 매칭)을 지원한다.

광명시는 광명역세권지구 일원에 교통, 에너지, 재해ㆍ안전 스마트서비스를 데이터 기반으로 유기적 연계하는 탄소중립 스마트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태백시는 급격한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마이닝 혁신기술 기반 지역특화산업 활성화로 시민포용적 강소도시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경산시는 청년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경제 쇠퇴 문제를 해결하고자 경산 임당 유니콘파크, 청년지식놀이터 등 기존의 도시 인프라를 연계해 데이터 기반 첨단산업 활성화 도시를 조성하고자 한다.

국토교통부는 지자체로 하여금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솔루션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광역지자체에 구축 중인 데이터허브와 연계하도록 하여 스마트서비스를 보다 빠르고 경제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플랫폼 도시구현을 위한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윤영중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에 많은 지자체와 기업 등이 관심을 갖고 참여했으며, 지역적 특성에 적합하고 도시운영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이 제시되었다”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구축하고, 다른 지역에도 확산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로 함께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의 사업계획 발표자료는 스마트시티 종합포털을 통해 25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