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만명 참여 '서울 청년 마음건강 지원 사업'…자아존중감↑·우울감↓

양희동 기자I 2024.01.07 11:15:00

작년 1만31명·7만1542회 상담 지원…전년比 1.5배↑
사업 전후 효과성…긍정↑·부정↓·만족도 91.4%
사업종료 3~6개월 후 추적조사 긍정 정서 향상 유지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서울시가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에 대한 2023년 성과평가 고도화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연세대 의과대학에서 진행한 이번 사업의 참여 전·후 효과성 측정 결과에 따르면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등 긍정 정서 향상, 우울·불안감 등 부정 정서 감소, 사업 만족도 증가 등의 성과를 거뒀다는 설명이다.

(자료=서울시)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은 불안·우울·무기력감을 경험하고 있는 만 19~39세 서울 청년들의 마음건강을 돌보는 사업이다. 지난해 지원 규모 1만명으로 확대하고 지원 프로그램의 질도 높인바 있다. 지난해 이 사업을 통해 심리상담을 받은 청년은 총 1만 31명으로 전년(6540명) 대비 1.5배 늘었다. 누적 상담 횟수는 7만 1542회로 1인 평균 약 7.13회 심리상담을 받았다. 이 중 3976명에 대해 사업 참여 전·후 상태를 비교해 본 결과, 긍정 정서는 향상되고 부정 정서는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

엄소용 연세대 의과대 박사는 이번 사업의 긍정 정서와 관련해 △자아존중감 ‘61.0→68.9점’ △회복탄력성 ‘56.4→63.2점’ △삶의 만족도 ‘50.6→62.3점’ 등으로 증가해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분야에서 유의미한 수치 변화로 보였다고 평가했다. 또 △우울감 ‘55.4→45.3점’ △불안감 ‘55.1→44.6점’ △스트레스 ‘65.5→58.2점’ △외로움 ‘63.0→55.4점’ 등 부정 정서는 사업 참여 이후 감소했다.

서울시는 2023년 처음으로 상담이 종료된 참여자에 대한 ‘장기 추적 조사’도 실시했다. 이를 위해 상반기 참여자 510명을 대상으로 상담 종료 직후와 3개월 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우울감, 불안감을 비교했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68.2→68.0점’ △회복탄력성 ‘63.3→62.9점’ △우울감 ‘45.3→46.4점’ △불안감 ‘44.4→45.2점’ 등으로 상담 종료 후에도 긍정 정서 향상 및 부정 정서 감소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023년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고 전했다. 사업 전반에 대해 91.4%가 만족했고, 92.6%가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상담사에 대한 만족도가 91.9%로 가장 높았고, 상담 효과가 88.3%, 프로그램 진행 안내 85.6% 등이 뒤를 이었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의 높은 호응과 성과는 정확한 데이터 분석과 계량화, 유형별 체계적 분류와 이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있다”며 “청년 당사자와 전문가, 상담 파트너의 현장의견을 계속 수렴하여 고도화됐기에 가능한 결실”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