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박원순 후폭풍] 위기냐 성장통이냐…정의당, 조문거부 논란 지속

이성기 기자I 2020.07.16 06:00:00

당원 게시판 `류호정 의원 당원 소환` 갑론을박
장혜영 "거대한 인식 차이 앞에 현기증"
배경·경험 다른 전통적 진보·2030 간 자연스러운 현상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조문 논란에 불똥이 튄 정의당 내부의 진통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당원 게시판에는 조문 거부 발언으로 논란을 촉발시킨 류호정 의원의 `당원 소환`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갑론을박이 뜨겁다. 다만 이를 심각한 내부 갈등이나 분열이 아니라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진통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한 편이다.

심상정(오른쪽) 정의당 대표와 장혜영 의원이 지난 14일 오전 국회에서 의원총회 시작 전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5일 정의당 당원 게시판은 `류 의원 당원 소환을 추진하자`는 한 당원의 제안을 두고 격론이 벌어졌다. 당원 소환은 당원의 요구에 따라 당 소속 국회의원 등 공직자에게 사퇴를 요구하고, 응하지 않으면 출당하는 조치다. 당원 소환 발의를 위해서는 전체 당원의 10분의 1이 동의해야 한다.

이 글에는 당원 소환에 동의한다는 댓글도 수십 개 달렸지만, `무슨 당헌·당규를 어겨 소환 대상이라는 거냐`는 등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았다.

조문 거부 논란에 대한 심상정 대표의 사과 발언을 두고서도 인식차를 드러냈다. 심 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유족과 시민의 추모 감정에 상처를 드렸다면 대표로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장혜영 의원은 이를 두고 자신의 페이스북에 “솔직히 당황스러웠다. 거대한 인식의 차이 앞에 지독한 현기증을 느낀다”고 썼다. 박원석 정책위의장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사과라는 표현이 꼭 적절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당내에서 `자기 할 말을 한 것인데 왜 대표가 나서서 의견을 억압하는 식으로 사과를 하느냐`는 반발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종철 선임대변인은 “조문 거부 자체에 대해 사과한 것이 아니라 피해자에 대한 두 의원의 연대 의사 메시지가 유족과 시민들의 추모 감정에 상처를 드렸다면 사과 드린다는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심 대표 등 정의당 1세대 정치인과 류·장 의원을 비롯한 2030 세대 간 정치·사회적 배경과 경험이 다른 만큼, 사안에 따른 어느 정도의 입장 차이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당의 공식 입장이 사전 조율이 안 된 채 돌발 발언이 나와 논란이 커진 측면이 있다”면서 “박 전 시장이 갖는 시민사회단체 내 상징성, 전통적인 진보적 가치와 2030세대의 중요한 담론인 `젠더 이슈`가 부딪치면서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장 의원도 “심 대표가 이번 사안에 관한 저의 관점과 행보를 여전히 존중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면서 “이견을 좁혀가며 지금은 힘을 모을 때”라고 강조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사망

- "박원순, 무릎에 입술 맞춰"…與, 고성 등 집단 반발 - 7억 원 빚 남긴 故 박원순…法, 유족 상속포기·한정승인 수용 - [오늘의 국감일정]'박원순 의혹 직권조사' 인권위 감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