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광명시, 3년간 160억 투입 '탄소중립 스마트도시' 조성

황영민 기자I 2024.06.23 11:00:00

국토부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선정
기후위기대응형 '광명형 탄소중립 스마트도시' 조성
신재생 에너지 효율화 및 순환체계 구축
전기차 기반 커뮤니티 카셰어링 DRT 등도 도입

[광명=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탄소중립도시를 지향하는 경기 광명시가 국토교통부의 ‘2024년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광명시는 앞으로 3년간 160억원을 들여 기후위기 대응 스마트도시 모델을 구축한다.

광명시청 전경.(사진=광명시)
23일 광명시에 따르면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도시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후위기·지역소멸 등의 환경변화에 대응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특화 솔루션이 집약된 선도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광명시가 선정된 분야는 기후위기 대응형 분야이다. 선정에 따라 시는 3년 간 총사업비 160억원(국비 80억원, 시비 80억원)을 투자해 ‘광명형 탄소중립 스마트도시’를 구현할 계획이다.

광명형 탄소중립 스마트도시는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순환되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민의 활동으로 변화되는 탄소중립 도시를 데이터화해 탄소중립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골자이다.

구체적으로는 △신재생 에너지 생산과 공유거래를 통한 에너지 효율화 및 순환체계 구축 △친환경 배달문화 밸류체인, 전기차 기반 커뮤니티 카셰어링 및 전기차 기반 수요응답형버스 등 친환경 교통수단 전환을 통한 교통여건개선 및 탄소배출량 저감 △시민 활동 데이터 기반 탄소중립 플랫폼 도시 실현 △AIoT(인공지능융합기술) 기반 침수·홍수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 등 이상기후 대응을 위한 재해 예측 및 능동 대응으로 도시 안전성 강화 △시민 참여 기반 취·창업 생태계 및 연구개발 순환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특히 이번 사업을 통해 구축되는 이노베이션센터에서는 시민을 대상으로 도시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시민을 육성하고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도 발굴한다.

또 지자체 차원의 데이터 기반 탄소중립 도시 모델 발굴을 위해 전국 최초로 생애주기 기반 탄소중립도시 인증제도를 개발하고 민간 전문 인력을 양성해 취업 창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대기업으로 구성된 이번 사업의 컨소시엄 기업들이 광명시 관내에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교육 등을 지원해 이들의 역량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활동도 이어갈 계획이다.

광명시는 기후위기 분야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 사업을 통해 지난해 2050 탄소중립도시 선포 시 발표한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 달성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는 2018년 기후에너지과를 전국 최초로 신설한 이후 시민과 함께 끊임없이 탄소중립 의제를 발굴하고 1.5℃ 기후의병 등 시민의 탄소중립 실천력을 높여왔다”며 “성장한 시민의식과 확대된 탄소중립 저변을 바탕으로 광명시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을 반드시 성공시켜 대한민국 최고의 탄소중립 스마트도시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