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청년 구직자 40% “취업 준비, ‘1년 이상’ 장기전 될 것”

이다원 기자I 2022.10.23 11:00:00

전경련, 2022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 결과 발표
취업 최전선 대학교 4학년, 10명 중 7명 '구직 단념'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대학생을 비롯한 청년 구직자들이 예상하는 취업 준비 기간이 1년 이상 길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구직을 포기한 청년 비중도 65.8%에 달하는 등 청년들이 체감하는 취업 환경이 암울했다.

지난달 19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2 월드클래스 잡 페스티벌에서 시민들이 구인 게시물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 및 졸업(예정)자 24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66.3%가 취업 준비 기간으로 ‘6개월 이상’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1년 이상’으로 예상한 응답자는 36.4%에 달했다.

예상취업준비기간 및 취업준비과정 어려움 조사 결과.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취업 준비 과정에서는 경력직 선호 등에 따른 신입채용 기회 감소(28.2%)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다. 또 △원하는 근로조건에 맞는 좋은 일자리 부족(26.0%), △체험형 인턴 등 실무경험 기회 확보 어려움(19.9%), △물가 급등에 따른 취업준비 비용 부담 증가(13.9%) 등의 답변도 나왔다.

전경련은 “기업들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경력직 채용을 선호하면서 직무 경험이 부족한 신규 대졸 구직자들의 취업준비기간이 장기화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응답자 중 29.6%는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이 ‘작년보다 어렵다’고 응답했다. 또 ‘작년과 비슷’하다는 응답 비중은 29.0%에 달했다.

청년 구직활동 실태 및 적극적 구직활동에 나서지 않는 이유 조사 결과.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취업 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서 대학교 4학년 또는 졸업 예정이거나 졸업한 대학생 65.8%는 ‘사실상 구직 단념’ 상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구직단념 비중은 구직활동 실태 응답 중 의례적으로 하고 있음(31.8%), 거의 안 함(26.7%), 쉬고 있음(7.3%)을 합한 수치다. 반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10명 중 2명(16.0%)도 채 되지 않았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의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서(49.5%)가 가장 많이 꼽혔다.

또한 일자리 부족(38.8%)을 꼽은 이들도 많았다. 이들은 구직활동을 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14.5%), 전공 또는 관심 분야의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해서(14.5%), 적합한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을 갖춘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해서(9.8%) 등이 구체적 이유로 꼽았다.

올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들은 평균 6.7회 입사 지원했다. 이 중 서류전형 합격 횟수는 평균 2.4회로 서류전형 합격률이 평균 35.8%에 불과했다.

대학생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은 대기업(20.4%), 중견기업(19.0%), 공사 등 공기업(17.8%), 정부(공무원)(16.2%), 중소기업(11.9%), 벤처?스타트업(7.0%) 순이다.

전경련은 “작년까지 공기업과 대기업 선호도가 1~2위를 앞다투었는데, 올해 처음으로 중견기업이 공기업을 앞질렀다”며, “이는 고용 안정성보다 공정하고 확실한 보상을 선호하는 청년들의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청년들이 체감하는 취업시장엔 벌써 겨울이 다가온 상황”이라며 “기업 고용여건을 개선하여 청년들이 선호하는 양질의 민간 일자리를 창출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