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코로나19 장기화 땐 국내 외투기업 41% 사업 줄인다

피용익 기자I 2020.03.22 11:00:01

외투기업 65%는 하반기에야 코로나19 종식 전망

[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국내 진출 외국인투자기업의 10곳 중 4곳은 한국 내 사업 축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주한외국인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 영향 및 대응’에 관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설문 대상은 외국인투자촉진법에 규정된 ‘외국투자자가 출자한 기업’ 중 종사자 100인 이상 기업 대상이며, 150개사가 응답했다.

글로벌 기업의 48%는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될 경우 글로벌 생산·유통망 재편을 고려하며, 이들 기업의 86.1%가 한국 내 생산·유통망 규모 축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외투기업의 41%에 달한다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한국 내 사업 축소 규모는 평균 ?11.1%로 조사됐다.

특히 국내 진출 외투기업의 64.7%는 코로나19의 전 세계 종료시점을 올해 하반기 이후로 전망하고 있어 한국 내 생산·유통망 재편의 현실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외투기업 10곳 중 9곳은 코로나19 사태가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원부자재 조달 차질’(35.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판매 애로’(28.4%), ‘생산 차질’(23.9%), ‘자금난 가중’(6.7%), ‘인사·노무관리 애로’(6.0%) 순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사태로 주한 외투기업 74.0%는 매출 감소를 전망했으며, 그 규모는 평균 ?12.4% 정도일 것으로 예상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도소매 및 유통업이 특히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전년대비 22.4% 매출 감소가 전망됐다.

코로나19에 따른 피해 최소화를 위해 외투기업들이 한국 정부에 바라는 것으로는 ‘사태진정을 위한 방역체계 강화’(44.0%)가 최우선 요청 사항이었다. 이어 ‘신속한 정보공유’(33.3%), ‘부품공급 원활화를 위한 통관절차 간소화’(10.0%),‘외투기업 지원을 위한 소속국 정부와의 협력강화’(4.7%) 등의 요청이 있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글로벌 기업들은 생각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 경우 글로벌 사업재편에 따른 한국 내 사업축소가 우려된다”고 전했다. 그는 “이에 따른 한국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역강화 등과 함께 투자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한 종합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