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②'이대로 싹쓸이' 與 vs. 판흔들기 노리는 野

김재은 기자I 2018.01.01 06:15:01

집권초 높은 지지율 與에 `유리`…수도권 PK 격전지 될 듯
주요 변수는 대통령 지지율·개헌·적폐청산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4년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고공행진중인 대통령과 정당 지지율을 토대로 싹쓸이를 계획하고 있다. 선거가 집권 2년차 정권 초에 치러지는 점도 유리하다. 제 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홍준표 대표가 6석을 공언하고 나섰지만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당내 진통속에 통합이 진행중인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아직까지 이렇다 할 후보나 선거 전략을 선보이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지방선거에서 여야 1대 1 구도시 여권 단일화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은 49%로 야권 단일화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24.3%)의 2배를 웃돌았다. 그만큼 촛불 민심이 지배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조사에서 현재 여론조사에 반영되지 않는 민심으로 보수(28%)나 중도(28.5%)가 진보(14.4%)보다 2배 가량 많았다. 과연 침묵하고 있는 보수가 표로써 행동할 지 관심이다.

현재 17개 광역지자체장중 민주당 소속 7곳, 자유한국당 소속 5곳, 바른정당 소속 2곳 등이다. 대전, 전남, 경남은 대행체제로 운영중이다.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 관심가는 주요 격전지 어디?

17개 시도중 가장 관심이 높은 곳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3곳과 PK(부산경남)이다. 서울시장은 사실상 3선 도전을 굳힌 박원순 시장과 박영선 우상호 민병두 전현희 의원 등 민주당 후보들의 경선이 사실상 본선이라는 평가다. 한국당은 홍정욱 헤럴드 회장을 낙점했지만, 스스로 고사하면서 인물난을 겪고 있다. 그외 안철수 대표가 야권주자로 나설 지 관심이다.

경기도는 남경필 지사가 재선을 노리고 있다. 하지만 그가 주장하는 야권 후보단일화 성사도 미지수다. 홍 대표가 남 지사의 한국당 입당에 난색을 표하고,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을 전략공천자로 밀고 있는 탓이다. 국민의당에서는 천정배, 이찬열, 이언주 의원 등이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민주당에선 이재명 성남시장, 전해철 의원이 물망에 오른다. 만약 경기지사를 민주당이 가져가게 되면, 1998년 임창열 지사 이후 20년만에 처음이다.

야권 강세지역인 인천시장도 유정복 현 시장과의 가상대결에서 민주당 소속 김교흥, 박남춘, 윤관석, 홍미영 등의 후보가 모두 앞선 것으로 나오고 있다.

수도권 외엔 PK지역이 격전지가 될 전망이다. 부산시장과 경남지사는 단 한 번도 여권 후보가 당선된 적 없는 불모지다. 최근 변화가 감지된다. 지난 19대 대선당시 부산에서 문 대통령이 홍준표 후보보다 6.7%포인트 앞선 38.71%를 득표했다. 민주당에선 부산을 가져올 경우 압승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여권에선 문 대통령 최측근인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비롯해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등이 부산시장 후보로 거론된다. 무소속인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민주당에 복당을 신청하며 당내 경선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친박으로 분류되는 서병수 시장의 낮은 지지율, 홍준표 대표와의 갈등도 여권에겐 유리하다. 한국당에선 서 시장 외에 이종혁 전 최고위원이 부산시장 출마를 선언했다. 재선의지를 밝힌 서 시장이 전략공천을 못 받을 경우 무소속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남지사 역시 8년전 김두관 지사가 무소속으로 당선됐을 뿐 여권에서 당선된 경우는 없다. 그 외 한국당 텃밭인 대구, 울산, 경북에서 최초의 여권 당선자가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광주시장은 윤장현 현 시장 외에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양향자 최고위원, 강기정 전 의원 등이 출사표를 던진 상태다. 6번의 선거에서 3번의 무소속 당선자를 낸 제주도에선 바른정당의 원희룡 제주지사가 무소속으로 출마할 지 관심이다.

◇ 대통령 지지율 적폐청산 개헌 ‘변수’될까

전문가들은 6월 지방선거에서 대통령 지지율과 개헌 동시 투표가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여야가 평행선을 달리던 개헌특위, 정개특위 연장에 합의하면서 2월까지 개헌과 관련한 여야 단일안이 도출될 지 주목된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지금 여론상 여당이 유리하지만,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50% 이상을 유지하느냐가 관건”이라며 “집권 만 1년 좀 지난 후 치러지는 선거이지만, 50%를 밑돌 경우 정권심판의 성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문 대통령 지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올해부터 16.4% 인상되는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 등이 꼽혔다.

정청래 전 민주당 의원은 “내년 지방선거까지 문 대통령 지지율은 큰 변화가 없고, 개헌이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19대 대선에서 5당 후보들이 일제히 지방선거와 동시 개헌을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개헌 국민투표가 동시에 실시될 경우 여당에게 유리한 만큼 자유한국당이 기를 쓰고 막을 것으로 내다봤다.

컨트롤하기 어려운 외교안보의 돌발변수 등장도 봐야 한다. 2010년 천안함 폭침, 2012년 총선에서 북한발 안보 위기설처럼 3월 전쟁위기설, 유엔 제재설 등이 불거질 경우 여권의 확장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홍영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1심 판결이 2월쯤 나올 수 있다”며 “적폐청산 프레임이 더 이상 통하기 어려울 수 있고, 개혁정치의 현실적인 부분이 드러날 수 있다”고 말했다. 리얼미터 조사결과 6.13 지방선거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적폐청산’이라는 응답이 59.2%로 ‘문 정부 무능 심판’(27.5%)보다 2배이상 앞섰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