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감산 삐걱?…OPEC+ 감산회의 연기에 유가 한때 5%↓(종합)

김상윤 기자I 2023.11.23 07:57:22

OPEC+ 회의 26→30일로 깜짝 연기
사우디 감산에 아프리카 산유국 불만 거론
이-하마스 일시휴전 지켜보자는 분위기도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 산유국들이 26일(현지시간) 예정된 감산논의 회의를 30일로 연기하기로 했다. 회원국들 간 원유 추가 감산 논의 합의가 원활하지 않다는 분석에 유가는 한때 5%가량 급락하기도 했다.

국제 유가를 좌지우지하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AFP 제공)
22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024년 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67센트(0.86%) 하락한 배럴당 77.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한때 5.12% 하락하며 73.79달러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월 인도분 브렌트유도 49센트 떨어진 배럴당 81.96달러에 마감했다. 브렌트유 역시 한때 4% 이상 급락했다.

OPEC+가 이번 주말 예정된 회의를 늦추기로 하면서 회원국들이 추가 감산 합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시장은 받아들였다. 당초 OPEC+을 이끌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번 회의에서 원유 추가 감산을 논의할 계획이었다. 최근 국제유가가 배럴당 77달러로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자 추가 감산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사우디는 미래 도시인 네옴시티를 건설하고 유명 축구·골프선수들에게 자금을 대기 위해 배럴당 100달러에 달하는 유가가 필요하다.

여기에 최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 전쟁에 따른 가자지구의 위기 심화로 분노한 OPEC+ 회원국들이 추가 감산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에 사우디는 지난 7월부터 하루 평균 100만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내년 1분기까지 연장하고, 나머지 산유국들도 최대 일평균 100만배럴 추가 감산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OPEC+간 감산 협의가 원만하지 않은 분위기다. 사우디는 다른 산유국들의 감산량에 불만을 표시한 뒤 감산 논의가 난항을 겪으면서 회의가 연기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보도했다. 리스타드에너지의 호르헤 레온 선임 부사장은 “이번 회의 연기는 OPEC+ 내에서 감산 합의에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줬다”며 “회원국들은 유가를 떠받치기 위해 생산량을 줄여야 할 필요성을 인정하고는 있지만, 문제는 어떻게 분담할지에 대해 이견이 있다”고 설명했다.

아프리카 회원국인 앙골라와 나이지리아, 콩고 등은 감산을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6월 회의에서도 이들 국가는 2024년 추가 감산 압박을 받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수년간 시추투자를 못 하면서 생산량이 줄었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간 일시 휴전도 회의 연기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인질과 수감자를 교환하는 조건으로 25일까지 휴전하기로 했는데, 휴전이 끝나는 시점에 추가 감산을 발표하면서 전쟁 비난에 대한 메시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FT는 “교전이 다시 재개될 때 감산을 발표할 경우 적어도 이스라엘을 강력히 지지해온 백악관에 비난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