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 공실 공공임대 12월 풀린다…물량 1위는 강서구

김나리 기자I 2020.12.07 06:00:00

전국서 SH 4069가구, LH 3만5012가구 공실 임대 입주자 모집
SH·LH 합산 서울 물량 약 5000가구…강서구가 533가구로 가장 많아

[이데일리 김나리 김미영 기자] 정부가 이달 중 총 3만9000가구의 공공임대 공실 활용 전세형 주택 입주자를 모집키로 했다. 이중 서울 물량은 약 5000가구로 정부는 강서구에서만 533가구를 모집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는 행복주택 등 현행 기준으로 공급 중인 물량을 포함한 수치여서 실제 모집 공고할 물량과는 차이가 날 가능성이 크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전세시장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이미 발표한 대책의 물량을 신속하게 공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12월까지 3만9000가구의 공실 공공임대 입주자를 조속히 모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가 언급한 전국 공실 공공임대 물량 3만9000가구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보유한 3개월 이상 공실(10월 말 기준)인 공공임대 주택 가구 물량을 합산한 수치이다. SH는 서울을 중심으로 4000여가구를, LH는 서울과 수도권, 지방 등 나머지 3만5000여가구를 담당한다. 전국 3만9000가구 중 수도권 전체 물량은 1만6000가구 가량으로, 여기서 서울 물량은 약 5000가구다.

서울에서는 강서구에 가장 많은 533가구의 빈집 물량이 몰려 있었다. 강동구(356), 강북구(345), 노원구(333), 은평구(332), 마포구(305) 등은 300가구 이상, 양천구(286), 송파구(263), 서초구(221) 등은 200가구 이상, 강남구(198), 동작구(121), 도봉구(104) 등은 100가구 이상 물량을 보유했다. 동대문구(97), 서대문구(96), 관악구(93), 중구(86), 금천구(70), 영등포구(28), 광진구(21) 등은 100가구 미만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는 실제 입주 가능한 공공임대 공실 전세형 물량과는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인다. 공실로 발표된 물량 중에서 행복주택 등 현행 방식으로 공급되고 남은 잔여 물량만 전세형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달 11·19 전세 대책 발표 때 당시 기준 3개월 이상 공실 상태인 LH 및 SH의 공공임대 주택 3만9000가구를 현행 기준에 따라 공급하고, 남은 공실을 전세로 전환해 연말 입주자를 모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언급한 3만9000가구 중 LH가 보유한 물량은 3만5012가구로 영구임대 3280가구, 국민임대 1만6104가구, 행복주택 7589가구 등으로 구성돼 있다. SH 물량은 4069가구로 영구임대 486가구, 국민임대 1378, 장기전세 455, 행복주택 53, 재개발임대 1031가구 등이다. 일부는 이미 예비 입주자 등이 선정된 상태로, 정부는 아직까지 정확한 전환 물량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홍 부총리는 “공실 물량을 보증금 비율 80%의 전세형으로 전환해 연말까지 기존 요건대로 입주자를 모집하되 이후 잔여 공실 물량에 대해서는 준비가 되는 대로 연말 통합해 모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민·중산층 주거안정방안에서 발표한 대로 소득·자산 요건을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신청자가 물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소득 기준으로 선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