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상업용 부동산 거래 ‘주춤’…전년비 27.4% 감소

신수정 기자I 2022.07.11 08:40:04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영향 본격화
"운영비용 절감으로 수요 둔화될 수도"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팬데믹에 치솟은 매매가와 금리인상으로 불어난 대출 이자로 매수인 부담이 커지면서 상반기 서울 업무·상업용 부동산 거래액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전문 기업 알스퀘어가 서울 업무?상업용 빌딩 매매 거래액 추이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는 이달 8일 기준으로 13조9612억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4% 감소했다. (사진=알스퀘어)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전문 기업 알스퀘어가 한국부동산원을 통해 반기 기준으로 서울 업무·상업용 부동산 매매 거래액 추이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매매가 합계는 이달 7일 기준으로 13조 961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7.4% 감소한 수치다.

6월 거래가 아직 통계상에 모두 잡히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도 거래액은 줄었다. 올해 1~5월 거래액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7.2% 감소했다. 업무?상업 부동산에는 오피스, 상가, 숙박시설 등이 포함된다.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만 해도 팬데믹에 따른 정부의 유동성 투입과 주거용 부동산 규제에 따른 투자 수요 확대로 수혜를 봤다.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며 9조 8233억원을 기록했던 거래액은 하반기에 반등한 뒤 2021년 상반기에 19조 2302억원, 하반기에 15조 9280억원을 기록했다. 연간으로 따지면 지난해 서울의 업무·상업용 빌딩 거래액은 전년보다 30.8% 늘었다.

올해는 상황이 뒤바뀌었다.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영향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연 1.50~1.75%인데, 연말까지 3.00~3.25%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을 막아야하는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따라 올릴 수밖에 없다.

강남과, 도심, 여의도에서 공실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호황인 임대차 시장도 악영향이 예상된다. 경영난을 겪거나 투자를 제때 받지 못한 기업들이 늘면서 오피스 수요가 꺾일 수 있기 때문이다.

류강민 알스퀘어 리서치센터장은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와 설비 투자 감소로 오피스 수요 증가가 둔화될 수 있다”며 “임차사가 운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서울 핵심권역에서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한 서울 기타권역으로 이전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