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데스크칼럼]핀테크 혁신 가로막는 금융권의 벽

김혜미 기자I 2024.02.14 07:17:47
[이데일리 김혜미 기자] “보험 비교·추천서비스 출시까지 정말 험난했습니다. 고객들에게 정확한 보험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보험사들이 제공하기로 합의했지만 그다지 협조적이지 않았거든요.”

최근 사석에서 만난 한 대형 핀테크업체 대표는 서비스 제공과정에 대해 이같이 털어놨다. 지난달 주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출시된 보험 비교 서비스 이야기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정식 서비스로 선보이기까지 기술적인 부분보다 오히려 기존 업계와의 협력이 가장 힘들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금융’(Finance)에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말 그대로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선보이는 ‘핀테크’(Fintech)가 등장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기존 사업자들이 설치한 보이지 않는 장벽은 핀테크 혁신을 가로막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은행권은 그나마 나아졌지만 보험업계의 장벽은 여전히 높다. 실제로 힘들게 협조를 얻어 출시한 보험 비교 서비스도 보험업계의 일방적인 가격책정 정책으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국내 4대 보험사들이 플랫폼 중개 수수료를 소비자들에게 그대로 전가해 자사 홈페이지에 공지한 비대면채널(CM)용 가격보다 3%가량 더 높은 4요율, 즉 플랫폼 가입가격을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보험비교 서비스를 통한 자동차보험가입은 지난 1월 18~31일까지 2주간 2000여건에 그쳤다. 주당 CM을 통한 갱신 규모가 14만건인 점을 감안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대형 핀테크 업체 중 하나인 토스는 선제적으로 보험비교서비스 수수료율 인하를 적극 검토 중이라고 한다. 결국 이조차도 핀테크 업체의 항복으로 비춰지고 있다.

핀테크 업체들을 단순히 기존 금융업에 편승하는 기업들로 여기는 분위기도 여전하다. 핀테크 업체들은 금융감독당국의 감독 범위에 있지만 범금융 신년인사회뿐만 아니라 금융인의 날 행사에도 초청되지 못한다. 중소 핀테크업체들은 정부가 업계 의견청취를 위해 자리만 마련해줘도 감지덕지하는 분위기다.

이런 모습은 미국 금융권이 핀테크 업계와 적극 협력하는 것과 상반된다. 2022년 맥킨지가 실시한 조사에서는 미국 자산규모 상위 100개 은행 가운데 96%가 핀테크 기업과의 제휴를 성장전략에서 중요하다고 답했고 26%는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실용성과 저렴한 수수료, 간편한 결제방식 등을 앞세운 핀테크 기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금융 소비자들이 많아져서다.

국내에서도 채팅 애플리케이션의 ‘선물하기’ 결제를 시작으로 이제 많은 사람들이 핀테크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핀테크 업계도 지급결제 뿐만 아니라 자산관리, 포인트 적립, 할인정보 제공 등 명실상부한 재테크 전문 앱으로 자리매김하는 추세다. 최근 컨슈머인사이트가 발표한 2023년 금융앱 이용자 만족도 순위에서는 토스가 1위, 네이버페이와 뱅크샐러드가 공동 3위를 기록한 게 이를 방증한다.

핀테크 기업들이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는 소비자 금융서비스 이용 편의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기존 금융업계의 메기 효과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핀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만큼 기존 금융업계는 핀테크 업계와 적극적인 협업만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점을 잊지 말기 바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