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매파로 돌아선 연준…“‘완전고용’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

김윤지 기자I 2021.12.21 08:24:19

메리츠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메리츠증권은 연방준비제도(Fed)의 ‘완전고용’에 대해 경제활동참가율을 제외한 대부분 지표들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면서 최근 들어 금리인상 선결조건으로서의 완전고용 기준은 사전적인 의미로 회귀했다고 판단했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1일 보고서에서 “주요국 중앙은행이 물가안정을 유일한 명시적 통화정책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것과 달리 연준은 의회가 부여한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이중책무(dual mandate) 하에서 통화정책을 운영 중”이라면서 “완전고용의 정의는 태생적으로 모호하다”고 짚었다.

물가안정이라는 목표는 정량적인 기준이 있다.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기준 2% 수준이다. 반면 완전고용은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사직비율, 시간당 임금 등 복합적인 지표를 토대로 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등 최근월 기준 대부분 고용지표는 완전고용 수준에 근접했다고 판단했다. △10~11월 평균 실업률은 4.4%로 미국 의회예산국(CBO)이 추정하는 물가안정실업률(NAIRU)에 수렴했고, 연준 경제전망 내의 장기균형 4.0%에도 근접했으며 △실업률의 하락과 더불어 여성, 핵심연령층(25~54세) 실업률 하락, 고용률 상승이 동반됐고 백인-흑인 실업률 격차도 3.0%포인트로 2020년 초 수준과 같고 △경제적 이유로 파트타이머로 종사하는 사람의 수 역시 2020년 초 수준으로 수렴했으며 △사직비율과 노동보상지수는 판데믹 이전 고점을 훌쩍 넘어섰다.

이 연구원은 “다소 미달하는 지표는 경제활동참가율로, 바이러스 감염 위험 등 보건 이슈, 육아 및 노인 돌봄의 필요성, 가계자산(주식, 주택) 팽창에 따른 맞벌이 필요성 경감, 대규모 정부보조금에 기반한 강제저축 등이 자발적 유인에 의한 노동시장 복귀를 지연시키고 있다”면서 “결국 장기적으로 해결될 이슈가 아니면서 은퇴 가속화로 팬데믹 이전으로 끌어올리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완전고용’이 완벽히 충족하지 못했음에도 연준이 인플레이션으로 선회한 이유에 대해 이 연구원은 “현재는 노동시장은 완전고용에 거의 근접한 상태인 반면, 인플레이션은 목표치를 크게 웃돌고 있어 인플레이션 문제를 우선시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 것”이라면서 “만약 연준의 예상대로 인플레이션이 시차를 두고 안정화된다면, 그들의 통화정책 전략도 융통성 있게 바뀔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