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래 아파트 부실시공 적발 ‘37곳’

정병묵 기자I 2018.10.03 10:27:39
최근 3년간 시도별 아파트 부실시공 현황(건·세대). 민경욱 의원실 제공.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최근 3년간 아파트 부실시공으로 적발된 사업장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민경욱 의원(자유한국당·인천 연수구을)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7월 말까지 전국에서 부실시공으로 적발된 사업장은 총 37곳(3만5831가구)에 달했다.

2016년 8곳이었던 부실시공 사업장은 지난해에는 19곳으로 대폭 늘었고, 올해도 7월까지 10곳이 적발되어 이미 작년의 절반 수준을 넘어서는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시·도별로 보면 대전이 8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 6곳, 경남 5곳, 서울·세종·경북이 각각 4곳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경기도에 위치한 대단지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이 부실시공을 이유로 두 달째 입주를 못하는 일이 발생한데 이어 경북 포항에서도 부실시공 논란으로 입주자와 시공사간에 마찰이 발생한 바 있다. 특히 적발된 건설사들 또한 대형 건설사와 중견 건설사 등이 고루 포진돼 있어 부실시공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부실시공에 대한 제재는 대부분 솜방망이 처분에 그치고 있었다. 37곳의 부실시공 사업에 대해 총 48건의 제재가 내려졌는데, 경징계인 벌점 부과(66.7%)와 시정 명령(20.7%)이 대다수인데 반해, 공사 중지·영업 정지·형사고발 등 중징계는 4.2%에 그쳤다.

한편 국토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 처리결과’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7월까지 접수된 아파트 하자분쟁 신고는 총 1만100건으로, 하루 평균 10건의 아파트 하자분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의위에서 하자로 판정된 건수는 전체의 43.9%인 4433건에 달했으며, 이 중 조정이 성립된 경우는 913건에 불과했다.

민 의원은 “업체 규모에 관계 없이 잇따른 부실시공 논란에 휩싸이면서 건설업계에 대한 국민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며 “건설사는 입주민의 안전을 지킨다는 생각으로 시공하고 국토부는 철저한 관리감독과 처벌 강화로 부실시공을 원천 봉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