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미중 갈등에 韓 반도체·이차전지 산업 반사이익 전망"

이은정 기자I 2022.09.07 08:07:39

다올투자증권 보고서
미국, 중국 규제 강화…"한국 잠재적 경쟁자 도태"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외산 불매운동 대응 가능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미국이 중국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한국 반도체, 2차전지 산업에 반사이익이 기대된다는 증권가 분석이 나왔다. 미국 규제 반작용으로 중국 내 외산 제품 불매 운동 가능성도 제기했다.

사진=AFP
김양재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미국의 중국 규제로 중장기 한국 기업의 잠재적 경쟁자가 도태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반사이익이 기대된다”며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가 자국 정부 지원 아래 대규모 투자를 집행, 산업 주도권을 확보하면서 한국 업체가 퇴출된 선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와 2차전지 산업 역시 한국과 중국 기술 격차가 축소되고 중국 경쟁사 대규모 투자가 직전이었던 상황”이라고 짚었다.

미국의 중국 제재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 본토 투자 제한 조건을 담은 CHIPS 법안을 시작으로 △중국 고립을 위한 CHIPS4 동맹 △중국 업체 증설을 저지하는 핵심 반도체 장비와 소재, 소프트웨어 수출 금지 발표 △엔비디아와 AMD의 인공지능(AI)와 슈퍼컴퓨팅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중국 수출 규제 대상 편입이 그 예다.

김 연구원은 “미국 정부 대중국 제재 정책은 적어도 2년 이상 다양한 시나리오 검토 이후 시행됐다”며 “단기적으로 철회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4월 바이든 정부는 반도체와 2차전지, 바이오, 희토류 등 4대 품목 공급망을 점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래 산업에 대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생산을 확대하는 계획이다. 나아가 한국과 대만, 일본과 공조를 통해 중국 글로벌 공급·소비 시장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대한 중국 정부 대응책으로는 희토류 수출통제와 미국 제품 불매운동을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희토류는 과거 가장 효과적인 대응책이었지만, 미국은 희토류 생산을 시작했고 적정 재고도 이미 확보해 실효성이 줄었다”며 “오히려 전투기 외장용 Be와 반도체 웨이퍼용 초고순도 Si는 미국에서 주로 생산돼 규제 리스크가 상존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제품 관세 부과와 관련해선 이미 트럼프 정부부터 무역 관세 부과 중”이라며 “미국 제재는 민간 부문이 제외됐고, 중국의 대미 무역 흑자가 큰 점을 감안하면 선제적인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언론 중심으로 미국 제품 불매 운동 전개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