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버려진 유니폼 파우치로 재탄생"…항공업계, 업사이클링 바람

손의연 기자I 2022.01.30 11:00:00

기업 이미지 제고·ESG 경영 강화 차원
폐기처분 유니폼·가방 등 패브릭 활용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항공업계가 ‘업사이클링(Upcycling)’ 제품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회수한 유니폼 등 천을 이용해 태블릿 파우치 등 패브릭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등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시아나의 업사이클링 제품. 태블릿 파우치
아시아나, 태블릿 파우치 제작

30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020560)은 회수 유니폼을 이용해 친환경 업사이클링 제품을 제작했다. 아시아나 승무원 유니폼과 색동을 포인트로 한 11인치 태블릿파우치다. 업사이클링이란 쓸모가 없어져 버려지는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친환경적인 디자인이나 아이디어, 기술 등의 가치를 부가해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활동이나 제품을 말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업사이클링 제품을 향후 고객과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이벤트 경품 등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제품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링한 뒤 판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아시아나항공에서 연간 폐기되는 각 직종의 유니폼은 3만 여벌에 달한다. 항공사 특성상 유니폼을 착용하는 직종은 운항승무원을 비롯해 캐빈승무원과 정비사, 공항 직원 등이다. 이 직종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8000명을 웃돈다. 아시아나항공은 해마다 폐기·소각되는 유니폼을 재활용해 업사이클링함으로써 자원의 선순환과 환경 보호에 힘쓸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업사이클링 아이디어와 제품 디자인 공모전도 개최할 계획이다.

제주항공 유니폼 업사이클링 상품 (사진=제주항공)
LCC, 사회적 기업과 맞손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친환경 제품을 만드는 사회적 기업과 손을 잡았다. 제주항공(089590)은 폐기처분된 유니폼을 재활용한 상품을 국내 최초로 판매한다. 제주항공은 지난 3일 여행전문 온라인 쇼핑몰 ‘제이샵’을 오픈해 업사이클링 제품을 본격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제이샵은 제주항공 기획상품(굿즈) 및 유니폼 업사이클링 상품, 제주 농축수산물, 여행용품 등을 내놓을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폐기처분 유니폼을 재활용한 상품인 ‘리프레시 백’ 시리즈를 판매한다. 리프레시 백은 지난해 3월부터 찢김과 이염, 오염 등으로 폐기처분될 유니폼 200여 벌을 재활용해 제작했다. △객실승무원 재킷의 카라를 그대로 적용한 크루 재킷 백(Crew Jacket Bag, 5만9000원) △운항승무원 유니폼을 재활용한 트래블러 텀블러 백(Traveler’s Tumbler Bag, 4만7000원)을 각 100개 한정으로 판매한다. 스카프(2만8000원)는 별매품으로 구성해 판매한다.

제주항공은 제주도에서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는 소셜벤처기업 레미디와 협업해 업사이클링 프로젝트도 진행했다. 제주항공은 리프레시 백을 시작으로 구명조끼, 정비우의 등 폐기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개발을 이어간다.

에어부산이 출시한 업사이클링 키링 (사진=에어부산)
에어부산(298690)은 폐기되는 승무원 캐리어가방을 활용한 제품을 내놨다. 에어부산은 업사이클링 사회적 기업인 에코인블랭크와 협업했다. 에코인블랭크는 세계 3대 디자인 시상식인 레드닷 어워드 수상과 2017년 홍콩 DFA(Design for Asia)어워드에서 패션 액세서리 부문 금상을 수상하는 등 디자인으로 손꼽히는 친환경 업사이클링 기업이다. 에어부산과 에코인블랭크는 함께 버려지는 승무원 캐리어가방, 서핑복(웻슈트)을 활용해 제작된 키링(열쇠고리)을 출시했다.

특히 에어부산은 키링 디자인에 환경보호의 의미를 담았다. 키링은 멸종위기 동물인 고래의 지느러미 모양으로 만들었다. 앞면은 폐기되는 승무원 캐리어가방 원단으로, 뒷면은 버려지는 서핑복 원단으로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캐리어가방은 승무원의 비행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 지급품으로 평균 2~3년에 한 번씩 교체하는데 재사용이 어려워 통상 전량 폐기처분된다. 서핑복 역시 대부분 합성고무로 만들어져 관리가 까다로워 원단이 찢기거나 갈라지는 경우가 많아 쉽게 버려진다.

에어부산은 제작된 키링을 에어부산 기내에서 판매한다. 수익금은 부산 바다 정화활동 기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에어부산은 승무원 유니폼 등 버려지는 소재를 재활용한 추가 업사이클링 제품도 제작을 검토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주변에서 쉽게 소비되고 버려지는 자원을 활용하면 환경보호에도 동참하고 소비자에게 좋은 기업 이미지를 심을 수도 있다”며 “ESG경영에 임직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기회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