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차전지株 폭등에 시총 '쑥'…코스닥 대장주 바뀜 주목"

이은정 기자I 2023.07.19 07:59:55

키움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2차전지주들이 폭등하면서 코스닥 내 시가총액 비중이 크게 불어났다. 코스닥 내 수급 쏠림이 이어지면서 당분간 코스닥 내 대장주를 차지할 가능성이 있어 시장이 관심이 모아질 전망이다.

키움증권은 19일 국내 증시가 지난 18일 우호적인 환율 여건에도 코스피 내 대형주를 중심으로 외국인의 차익실현 물량이 출회됐으나, 코스닥 2차전지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혼조세로 마감한 점을 짚었다.

이날 국내 증시는 전일 급등한 코스닥을 중심으로 차익실현 압력이 예상된다. 다만 미국 금융주들의 호실적 속 나스닥 강세 효과와 국내 2분기 실적 기대감 지속 등으로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봤다.

전일 동반 폭등한 2차전지주들의 주가 강세가 지속될 지도 또 다른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최근 2 차전지주들의 테슬라발 호재, 기술적 주가 모멘텀, 코스닥 내 수급 쏠림 등에 힘입어 코스닥 내 시가총액 비중이 큰 폭 늘어난 상황이다. 코스닥 내 시가총액 비중은 바이오 20.5%, 2차전지 20.4%로 분석됐다. 1개월 전에 바이오 비중은 22.0%, 2차전지 비중은 17.3%이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닥 대장주 역할은 바이오 업종이 담당했지만 현재는 2차전지 업종이 이를 추월하려는 모습”이라며 “이날을 포함해 2차전지주들에 대한 쏠림 현상이 지속되면서 코스닥 내 대장주를 차지할지 여부에 당분간 시장의 관심이 모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또 업종 관점에서는 미국 증시의 영향을 받아 반도체 등 최근 숨고르기 흐름을 보인 인공지능(AI) 관련주들을 긍정적으로 봤다. 18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주가 +4.0%)는 인공지능(AI) 구독 서비스 발표로 인해 엔비디아(+2.2%) 포함 AI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는 이미 주가에 상당부분 반영돼 있다는 평가다. 전일 실적을 발표한 모건스탠리(+6.5%), BOA(+4.4%) 등 대형은행주들이 호실적을 기록한 상황 속에서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국내총생산(GDP) 나우 모델 상 2분기 성장률도 2.4%로 제시됐다. 견조한 기업 실적과 2분기 성장 전망 속에 다우존스는 1.06%,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0.71%, 나스닥은 0.76% 상승했다.

한 연구원은 “물론 우려에 비해 양호한 경기 상황은 연준의 추가 2회 금리인상을 초래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 관점에서 레벨 다운 기조가 훼손되지 않아 추가 2회 인상 가능성을 제한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일각에서는 골디락스(양호한 경제 성장+인플레이션 하락) 의견이 있지만 경기 침체의 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장단기 금리차, 은행들의 대출태도는 성장 둔화를 예고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닷컴버블, 금융위기 당시에도 -100bp(1bp=0.01%포인트) 이상까지 벌어지지 않았던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10년물-3개월물)는 18일 기준 -162bp까지 확대됐고 은행의 대출태도지수가 상승하고 있다”며 “결국 증시에 최상의 시나리오인 골디락스 진입 여부보다는 침체 강도의 문제가 관건일 것이라는 기존 전제는 유효하며, 실물 경제 지표에 의존적인 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2차전지주 급등락

- “반도체·2차전지 수혜 기대”…증권가가 주목한 이 종목 - 코스닥, 잭슨홀 경계 속 낙폭 축소…2차전지株 강세 - 한송네오텍, 신화아이티 완전 자회사 편입…2차전지 사업 청신호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