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6년근 인삼은 약재, 새싹 인삼은?

이진철 기자I 2019.06.22 09:10:01

농진청, '고년근 인삼'-'새싹 쌈' 차이점 소개
고년근은 깊은 맛, 새싹 삼은 샐러드, 비빔밥, 주스 등

농촌진흥청 제공
[세종=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농촌진흥청은 소비자들이 궁금해 하는 고년근 인삼과 새싹 삼을 구별할 수 있는 차이점과 구매 전에 알아두면 좋은 정보를 소개했다.

고년근 인삼과 새싹 삼 모두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 살이식물로 같은 종이지만, 재배법이 달라 쓰임새나 성분에 차이가 있다.

재배 방법을 보면 고년근 인삼은 흙에서 4∼6년간 재배한 것으로 주로 뿌리를 이용한다. 이와 달리 새싹 삼은 1년생 묘삼을 3∼4주간 싹을 틔운 것으로 잎부터 줄기, 뿌리까지 통째로 먹을 수 있다.

쓰임새의 경우 고년근 인삼은 뿌리를 한약재로 이용하며, 보통 찌고 말려 홍삼과 같은 건강 기능성 식품 등으로 활용한다. 뛰어난 효능 덕분에 선물용으로 많이 팔리고, 닭백숙 등 보양식이나 전골 등 깊은 맛을 내는 데 잘 어울린다.

반면 새싹 삼은 나물처럼 식감이 부드러워 샐러드, 비빔밥, 주스 등 가볍게 즐기기 좋다. 채소처럼 잎이 쉽게 시들므로 유통기간은 1∼2주로 짧다.

성분은 고년근 인삼 한 뿌리에는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있는 생리 활성 물질인 사포닌이 100∼200mg가량 들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면역력 증진, 피로 개선, 최근에는 뼈 건강 개선 효과까지 기능성 원료 인정을 받았다.

새싹 삼은 한 뿌리에 사포닌이 1∼4mg 들어있다. 잎과 줄기에는 뿌리보다 사포닌이 2~3배 많은 8~12mg가량 들어 있다. 약재용이 아니기에 사포닌 외에 달리 기능성을 인정받은 것은 없다.

농진청은 “시중에 ‘새싹 삼이 고년근 인삼보다 항암 효과가 더 좋다’거나 ‘새싹 삼 한 뿌리면 6년근 인삼 다섯 뿌리를 먹는 효과가 있다’는 비교 정보는 자칫 허위 광고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농진청 관계자는 “고년근 인삼은 우리나라 전통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효능적 가치가 높고 새싹 삼은 인삼의 향과 맛,유효성분을 기대할 수 있는 약용채소의 대표 주자”라며 “각각 올바른 정보와 함께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