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러시아 동결자산, 우크라 피해보상 때까지 동결"

이소현 기자I 2024.05.26 10:30:03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러시아 동결자산, 우크라 지원 성명 채택
관련 합의는 내달 G7정상회의서 구체화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러시아 동결자산의 운용 수익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법상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구체적인 합의는 내달 중순 예정된 G7 정상회의서 다뤄질 예정이다.

2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스트레사에서 열린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로이터)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24~25일 이틀간 이탈리아에서 열린 회의를 마치며 러시아 동결자산 사용에 관한 내용 등을 담은 최종 성명을 채택했다.

올해 G7 의장국인 이탈리아의 잔카를로 조르제티 경제재정부 장관은 이날 폐막 기자회견에서 동결한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 활용과 관련해 “극복해야 할 도전이 있지만, G7은 강력한 입장을 보여줬다”며 “정치적 합의”라고 성과를 강조했다.

서방이 동결한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의 총액은 약 3000억달러에 달한다.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들은 성명에서 향후 러시아 동결자산 해제 조건도 밝혔다. 이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끼친 피해를 보상하기 전까지 러시아 자산은 동결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은 G7과 EU에 동결된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의 이자를 담보로 500억 달러 규모 대출 프로그램을 조성하자고 제안한 상태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향후 어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며 오는 6월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논의를 심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유럽연합(EU)은 이미 자체 제안을 내놓았다. 러시아 동결자산의 3분의 2가 EU에 있으며, 대부분 자산이 벨기에서 관리하고 있다. 앞서 EU는 지난 21일 유럽 내 동결된 러시아 자산을 운용해 나오는 연간 약 30억 유로의 수익을 우크라이나 지원에 사용하기로 했다.

세계은행은 우크라이나가 회복되려면 향후 10년간 4860억 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세르히 마르첸코 재무장관은 “우리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좋은 신호”라며 “6월 G7 정상회의에서 어떤 결정이 내려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러시아는 반발했다.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은 이날 국영 로시야 방송 파벨 자루빈 기자 텔레그램에 공개된 인터뷰에서 “결정이 내려지면 우리도 거울처럼 동일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