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文에 속았다’ ‘文 내려와’ 실검 챌린지로 진화한 온라인 시위

김영환 기자I 2020.07.22 06:00:00

정부 부동산 대책에 성난 민심, 온라인 ‘실검 챌린지’로 불만
수요 억제 중심의 문정부 부동산 정책에 반감 심화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수요 억제를 앞세운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대책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온라인 상에서 표출되고 있다. 포털 실시간 검색어를 특정 키워드로 검색해 정부와 청와대를 향해 뚜렷한 메시지를 내고 있는 것이다. ‘문재인 내려와’ 등으로 격화되는가 하면 ‘소급반대 20만명 국회청원’ 등 명확한 요구 사항을 담아내기도 했다.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실검)에 21일 오후 3시 이후부터 ‘소급반대 20만명 국회청원’이 20위권 안으로 진입했다. 앞서 ‘김현미 장관 거짓말’, ‘조세저항 국민운동’, ‘3040 문재인에 속았다’, ‘문재인 내려와’ 등이 상위권 실검으로 영향력을 발휘했던 바도 있다.

이 같은 실검 챌린지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반발하는 이들이 모인 특정 카페에서 매일 다르게 선정한 표어에 네티즌들이 함께 동조하면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중이다. ‘6·17 규제 소급적용 피해자 구제를 위한 시민모임’, ‘7·10 취득세 소급적용 피해자 모임’ 등이 부동산 정책에 반하는 키워드를 매일 같이 포털 실시간 검색어 리스트에 올렸다.

부동산 문제로 촉발된 온라인 시위가 점차 양 정치세력 간 대결의 장으로 변질되는 모습도 연출된다. 20일 ‘문재인 내려와’가 실검 순위에 오르자 문재인 정부의 지지자들이 ‘문재인 힘내세요’라는 키워드를 띄워 응수했다. 한 쪽에서는 ‘내려와’가 한 쪽에선 ‘힘내라’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형국이다.

지난해 9월 ‘조국 사태’가 한창이던 당시 양진영 간 대결이 온라인에서 다시 촉발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사모펀드, 자녀 입시 비리 등으로 여론의 십자포화를 맞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임명을 둘러싸고 광화문과 서초동으로 대표되는 거리 시위가 대한민국을 반으로 갈랐다.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문재인 탄핵’과 ‘문재인 지지’가 세대결을 벌이기도 했다.

여기에 더 나아가서 부동산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다른 정치적 사안에 대해서도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21일 10위권 안으로 진입한 ‘재검표를 실시하라’다. 부동산 문제에 대한 불만이 경제 정책을 넘어 지난 4·15 총선 결과에 대한 불만으로도 비화되는 모양새다.

야당에서는 이 같은 기회를 통해 반정부 전선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오는 30일 미래통합당 일부 의원들은 부동산 피해를 입은 시민 500여명과 함께 하는 공청회를 예정 중이다. 이에 앞서 25일 서울에서 촛불집회도 예고했다. 정부의 다양한 대책에도 부동산 문제가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앞서 정부는 6·17 대책으로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을 확대하면서 이 지역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하락, 분양권·주택 매수자들이 반발했다. 7·10 대책에서는 2주택 이상 보유자에 대한 취득세율을 높이는 등 다주택을 압박하고 수요를 억제하는 부동산 대책에 반대 세력이 집결하는 양상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