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文대통령 퇴임 앞두고 남북정상 친서 교환…"깊은 신뢰심 표시"

정다슬 기자I 2022.04.22 07:48:49

문 대통령 "남북공동선언, 통일 밑거름 되길"
김정은 "문재인 고뇌 노고 높이 평가"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아
靑 오전 중 관련 브리핑 예정

[고양=노진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8년 4월 27일 오전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사무실 사이의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환영식장으로 향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퇴임을 앞두고 남북정상이 친서를 교환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2일 문 대통령이 지난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냈고, 김정은은 21일 답장했다는 사실을 전하며 “북남 수뇌분(남북 정상)들께서는 친서를 통하여 따뜻한 안부인사를 나누시였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친서에서 “그동안 어려운 상황에서도 남북 정상이 손잡고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 사이의 협력을 위해 노력해온 것”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퇴임 후에도 남북공동선언들이 통일의 밑거름이 되도록 마음을 함께 할 의사를 피력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북남수뇌가 역사적인 공동선언들을 발표하고 온 민족에게 앞날에 대한 희망을 안겨준 것”을 회고하며 “임기 마지막까지 민족의 대의를 위해 마음 써 온 문재인 대통령의 고뇌와 노고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양 정상이 “서로가 희망을 안고 진함없는 노력을 기울여나간다면 북남(남북) 관계가 민족의 염원과 기대에 맞게 개선되고 발전하게 될 것이라는 데 대해 견해를 같이 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로 남과 북의 동포들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남북정상의 친서 교환이 “깊은 신뢰심의 표시”라고 평가했다. 이 기사는 북한 전 주민이 보는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았다.

청와대는 북한이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 사실을 보도하자, 한 시간 쯤 뒤 이를 확인했다. 이날 오전 중으로 관련 내용을 브리핑할 예정이다.

남북 정상은 김 위원장이 2018년 2월 청와대를 방문한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통해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요청하는 친서를 보낸 것을 시작으로 수시로 친서를 교환해왔다.

지난 2019년 북미 간 ‘하노이 노딜’, 나아가 2020년 6월 북한의 일방적인 통신선 차단으로 남북 간 대화가 사실상 끊긴 와중에도 남북 정상은 친서 소통을 이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