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하루 앞…침묵한 北, 물밑 기싸움 고조

김미경 기자I 2021.05.21 07:13:12

文대통령 방미일정 시작에도 北 정중동 행보
정상회담 함구한 채 경제난 타개·내부결속 치중
美 북미협상 재개 시그널에도…관망세 지속
회담 이후·8월 한미연합훈련 계기 도발 가능성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첫 한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한반도 정세에 긴장감이 감돈다. 북한은 바이든 미 정부의 새 대북정책 기조에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낸 후 별다른 반응 없이 정중동 행보를 이어가고 있지만 북미 간 물밑에서 치열한 기싸움이 벌어지는 양상이다.

미국 백악관은 22일(한국시간) 새벽에 있을 한미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 중 하나가 북한이 될 것이라며 북한에 재차 대북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한편, 북한은 대외 행보를 자제한 채 경제난 타개와 내부 결속에 치중하는 기류다. 북미 치열한 기싸움 속 대화 재개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문재인 대통령, 조 바이든 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사진=이데일리 그래픽 DB).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 주요 북한 매체는 21일 문재인 대통령의 본격적인 방미 일정 돌입에도 한미정상회담 개최 사실이나 이에 대한 어떠한 평가도 언급하지 않고 있다. 대신 김정은 국무위원장 찬양과 내부 단속에 집중했다.

노동신문은 ‘후대들을 위한 사업은 우리 당의 제일중대사입니다’라는 기사에서 “피눈물의 언덕을 떠나 경애하는 총비서동지(국무위원장) 한분만을 믿고 따르며 어느덧 10년”이라며 “위대한 김정은시대의 이 메아리는 우리의 새세대들이 행복에 넘쳐 부르는 ‘세상에 부럼없어라’의 노래소리와 더불어 내 조국강산에 영원히 울려갈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지방경제를 발전시켜야 인민생활이 안정향상된다’라는 논설을 통해 지방경제 활성화를 주문했다. 이 매체는 “지방경제를 발전시키는것은 인민들의 먹는 문제, 식량문제를 풀기 위한 중요한 방도의 하나로 된다”며 “지방경제를 책임진 일군들은 자기 지역의 경제를 원활하게 운영되는 정상궤도에 확고히 올려세우고 인민생활을 안정향상시키는것으로써 혁명의 새 승리를 이룩해나가는데 적극 이바지하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선전매체를 통해서는 우리 군 신무기 도입과 군사훈련에 대해 연일 날 세우고 있다. 북한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는 지난 17일 ‘또다시 드러난 평화파괴자의 정체’ 기사에서 국방부의 고고도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 대대 창설 계획과 이달 한미 연합 공수화물 훈련 및 화랑훈련을 두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파괴하는 무모한 호전적 망동이 아닐 수 없다”며 향후 정세 긴장을 예고했다.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지켜보면서 향후 국면 전환과 대미 기선 제압 등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정은 위원장이 올초 8차 당 대회에서 대미 정책 기조로 ‘강대강·선대선’ 원칙을 상기한 가운데 우리 군을 상대로 무력 도발 명분을 쌓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미국 관심을 끌되 과도한 자극은 피하는 대신 남측을 겨냥한 저강도 도발이나 추가 비난 담화 등의 형태로 긴장 수위 높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각에선 정상회담 및 8월 한미연합훈련 계기로 군사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박영자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18일 열린 한 토론회에서 “북한 당국이 내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우리나라의 약속 불이행 등에 책임을 돌려 대외적 긴장을 고조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박 위원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다”면서도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가 집중하고 있는 첨단전략무기 개발 과정에서 신형 무기를 실험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이정철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도 “북한 군부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및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군사실험에 대한 기술적인 필요를 느낄 것”이라며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한 시기를 겨냥한 도발이 벌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8월 한미연합훈련이나 미국의 추가 제재 압박 등에 따라 단계적으로 군사행동 수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며 지난 3월 김여정 당 부부장이 경고 담화에서 밝혔던 △9·19 군사 분야 남북합의서’ 파기나 △조국평화통일위원회·금강산 국제관광국 폐기 등을 감행할 수 있다고도 했다.

한미 정상회담

- 軍, 우주 발사체 개발 추진…한미정상회담 후속조치 - ‘한미 미사일지침’에 반응한 北…통일부 “신중히 지켜보겠다” - '한미 정상회담 성과' 文대통령, 40% 지지율 회복 목전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