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절반 '민간소비' 제대로 잡을 통계가 없다④[소비양극화]

최정희 기자I 2024.06.11 06:13:23

통계청 월별 소매판매, '재화'만 알 수 있어
온라인 판매 비중 4분의 1에 불과, 현실과 괴리
국내 소비 60%가 '서비스'인데…'서비스 소비' 통계 없어
생산자 입장서 작성된 '서비스 생산'으로 추정
2022년 중반 이후 소비심리지수와 민간소비 괴리 커

4월 28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 한 음식점에 치킨과 김밥 등 메뉴 사진 안내판이 붙어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가량이 민간소비이지만 달라진 소비 구조를 제대로 포착할 만한 지표는 사실상 전무하다. 현실과 괴리된 소비 지표를 보고 정부가 잘못된 정책을 실시할 위험이 있다는 측면에서 지표 개발이 시급해보인다.

*유통업체 매출과 소매판매는 조사 대상 및 범위 등이 다름 출처: 통계청, 산업통상자원부
소비지표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은 통계청이 매달 발표하는 ‘산업활동동향’내 소매판매이다. 소매판매는 백화점, 슈퍼마켓,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등 약 2700개 표본 사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다. 그런데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 판매는 4분의 1에 불과하다. 쿠팡, G마켓 등 온라인 유통업체가 일부 조사 대상에 포함되고 있지만 쿠팡 등을 통한 온라인 재화 소비가 보편화된 상황에서 그 비중은 적은 편이다. 무엇보다 국내 소비의 60%를 차지하는 서비스 소비는 소매판매에서 찾아볼 수 없다. 소매판매는 재화 소비만 담고 있다.

통계청은 산업활동동향에서 ‘서비스 생산’이라는 지표를 내고 있지만 이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약 1만7600개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말 그대로 ‘생산’한 것을 집계한 것이다. 서비스 생산을 ‘소비’됐다고 추정해 ‘서비스 소비’를 가늠할 뿐이다.

그나마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매달 발표하는 ‘유통업체 매출 현황’은 재화와 서비스 매출을 담고 있고 쿠팡 등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의 비중도 50%를 넘어선다. 다만 이는 매출의 전년동월비 증감률만 공개될 뿐 매출액이 얼마인지뿐 아니라 전월비 증감률도 공개되지 않는다.

통계 집계 방식 등에서 차이가 나면서 통계청의 소매판매, 산업부의 유통업체 매출 지표간 괴리도 심하다. 예컨대 소매판매는 전년동월 기준으로 1월 3.3% 감소, 2월 0.8% 증가, 3월 3.4% 감소, 4월 2.6% 감소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유통업체 매출은 1월 8.2%, 2월 13.7%, 3월 10.9%, 4월 10.8% 증가했다. 2022년 7.7%, 2023년 6.3% 증가한 것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어느 지표를 보느냐에 따라 소비에 대한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

(출처: 한국은행)
심리지표가 민간소비에 동행하거나 1개월 정도 선행한다고 알려져있지만 최근엔 심리지표와 민간소비가 괴리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년 하반기 소비자 심리지수가 분기 기준 90 밑으로 하락했을 때도 민간소비는 전년동기비 3~5% 증가했던 반면 작년 하반기 이후 올초까지 소비자 심리가 100선을 상회했을 땐 민간소비가 0~1%대 증가에 그쳤다. 소매판매 지표도 마찬가지다. 작년 중반 소비자 심리지수가 석 달간 100선을 상회하고 올 들어서도 넉 달간 100선을 상회했음에도 소매판매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대부분의 소비지표들이 ‘생산자 관점’에서 작성된다는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가계, 기업 등 민간 경제주체들의 입장에서 작성되는 소비지표는 전무하다. 통계청 가계동향에서 지출 항목이 나오긴 하나 분기 지표라 한계가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정부가 어떠한 정책을 펼칠 때 공급 측면의 통계만 갖고서 할 게 아니라 소비지출 구조 변화 등을 보고 정책을 펴야 실효적인 정책이 나온다”며 “매출 등 공급 측면만 갖고선 안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