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TTA, ‘한국 주도 글로벌 사실표준화기구 신설’ 논의

김현아 기자I 2022.10.11 08:10:34

11~12일, ICT 표준화포럼/전문가 전략 워크숍 개최
국가·민간 연구개발(R&D)/특허/표준 연계 강화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최영해, TTA)가 11~12일 양일간 산·학·연 정보통신 표준화 전문가를 초청해 시장중심의 표준개발 활성화 및 국제표준화 주도권 확보 방안을 논의하는『ICT 표준화포럼/전문가 전략 워크숍』을 송도 파라다이스 시티 사파이어홀에서 개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TT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이 공동 주관한다.

TTA가 지원하고 있는 38개 ICT 표준화포럼과 325명 ICT 국제표준화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최신 정보통신 표준화 정책, 기술, 국내 우수포럼의 운영 노하우 및 성공사례를 공유한다.

산·학·연 전문가 주도로 각 분야 기술·서비스 표준 개발, 실 산업에 적용 및 활용하기 위해 구성된 민간 표준화 회의체로 국내 약 1,30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초거대 AI의 현재와 미래(옥상훈 네이버 부장)’ 및 ‘기술패권과 기술 국가주의 시대(이희진 연세대 교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메타버스, 양자정보통신 등 최근 신설된 국외 사실표준화기구 동향 발표와 ‘KISTA의 표준특허 대응전략 지원사업’, ‘TTA 지원 중소기업 대상 표준화 및 시험인증 서비스’ 등이 소개된다.

특히, 패널토의에서는 ‘국내 주도 글로벌 사실표준화기구 신설’을 주제로 삼성전자, KT, 조이펀, 한성대, 순천향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이 참여하여 신설 가능 분야, 선제적 해결사항, 자원(전문가, 예산, 시간) 확보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그동안 TTA는 글로벌 사실표준화기구 대응 강화를 위해 IEEE, IETF 및 W3C 등 국내 미러포럼 운영을 통해 매년 약 100여 건 이상 국내 기술을 국제표준에 반영하였으며, IEEE 3079(‘16.12월), IEEE 2888(’19.9월), FIDO Alliance Korea(‘17.12월) 및 OCF(’17.3월) 등에 한국 주도로 실무반(WG)을 신설한 바 있다.

둘째 날은 ‘스마트로봇(ISO/TC299)’, ‘멀티미디어(ITU-T SG16) 및 인공지능(MPAI)’, ‘위성 궤도 및 전파통신(ITU-R)’ 등 명장급 전문가들의 표준화 동향 및 이슈에 대한 발표와 함께 전년도 우수포럼인 ‘스마트철도 표준화 포럼’의 표준기반 사업화(제품·서비스 적용) 연계 방안, 올해 신규 포럼인 ‘오픈랜 포럼’, ‘디지털 트윈 포럼’의 활동을 소개하고 포럼 간 협력의 시간을 마련한다.

최영해 TTA 회장은 “글로벌 ICT 표준화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내 ICT 표준화포럼과 ICT 국제표준화전문가 양성 및 지원을 강화하고, 사실표준화기구 대응에 자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