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고급 참치' 남방참다랑어, 얼마나 잡을 수 있을까[바다이야기]

공지유 기자I 2023.10.07 09:00:35

톤당 1700만원 '바다의 로또'…한때 자원고갈 위기
수산기구서 매년 회원국 허용어획량 쿼터 배당
향후 3년간 쿼터 내주 결정…韓, 1000톤대 유지할 듯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쉽게 먹을 수 없는 고급 참치회로 소비되는 남방참다랑어는 1톤(t)당 평균 가격이 1700만원을 웃돌아 ‘바다의 로또’로도 불립니다.
(사진=뉴시스)
남방참다랑어는 한때는 무분별한 남획으로 한때 멸종 위기에 직면하기도 했습니다. 2008년에는 산란자원량이 처녀자원량의 10% 이하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방참다랑어 자원이 1980년의 10% 미만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개체 수가 줄었습니다.

이같은 자원고갈을 막기 위해 국제 수산기구에서 회원국끼리 머리를 맞대고 남방참다랑어 자원 보존 방안을 논의해 왔습니다. 잡을 수 있는 물고기 수를 대폭 줄여 산란할 수 있는 개체수를 일정 수준까지 회복시키자는 것이 주 목표였습니다.

남방참다랑어 보존을 논의하는 국제 수산기구인 남방참다랑어 보존위원회(CCSBT)는 지난 2009년 남방참다랑어의 총허용어획량(TAC)을 기존 계획보다 20% 감축해 자원회복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CCSBT는 2010~2011년간 회원국 전체의 총허용 어획량을 9449t으로 줄였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 할당된 어획량도 1140t에서 859t으로 줄었습니다.

이 같은 조치가 효과를 보면서 남방참다랑어 자원량은 2011년부터 최근까지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지난달 1일 열린 CCSBT 과학위원회에서 CCSBT는 남방참다랑어 산란자원량 비율이 △2014년 9% △2017년 13% △2020년 20%로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습니다. 산란자원량은 전체 자원량 중 산란(재생산)이 가능한 성어 자원량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 할당되는 남방참다랑어 어획량은 매년 1000t 수준입니다. 보존위에서 전체 어획량을 정한 뒤 각 회원국에게 정해진 비율대로 어획량을 할당하는 방식인데, 총 8개 회원국(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대만·인도네시아·유럽연합·남아공·필리핀) 중 우리나라의 할당비율은 7.2%입니다. 일본과 호주가 각각 35.5%를 할당받고 대만은 우리와 같은 7.2%를 할당받습니다.

매년 1000t 이상을 어획하는 만큼 우리나라 원양어업에 있어서 남방참다랑어 쿼터가 얼마인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 원양어선이 어획한 남방참다랑어 대부분이 일본에 횟감으로 고가로 수출되고 있기 때문에 어획쿼터가 많아지면 수산물 수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은 △2016~2017년 1140t △2018~2020년 1240.5t △2021~2023년 1262.5t 을 배당받았습니다.

남방참다랑어 자원량이 회복되면서 추후 국가별 어획쿼터도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CCSBT는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부산에서 ‘제30차 CCSBT 총회’를 열고 내년부터 2026년까지 3년 간 남방참다랑어 할당량을 결정합니다.

우리나라의 어획쿼터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수출 증대에 기여면서도, 남방참다랑어의 지속가능한 재생산을 위해 국제기구와 함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를 기대합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