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정부 잇따른 금한령에 관광업계 "앞으로가 더 문제"

강경록 기자I 2016.12.31 09:23:37

30일 중국 민항국 한국행 전세기 8개 노선 불허
7월 사드 배치 발표 후 세번째 금한령
관광업계 "새해, 춘절 앞두고 충격"

인천공항을 통해 방한한 유커들이 방한 행사에 즐거워하고 있는 모습(사진=한국관광공사)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새해 벽두부터 관광업계가 울상을 짓게 됐다.

중국 당국이 내년 1월 한국행 부정기 항공편, 일명 전세기의 운항을 일부 불허한 게 알려지면서 관광업계가 향후 대책을 고민 중이다. 중국의 최대 명절 춘제(음력설) 기간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빨간불이 켜졌다. 관광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중국의 조치에 사실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태여서 어떤 조치를 내려야할지도 막막하다”면서 “지난 10월 중국 정부가 일부 지방 지역 여행사에 한국행 여행객 수를 20% 줄이라는 구두지침을 내린 후 우리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것보다 현장은 더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었다”고 하소연했다.

갑작스러운 소식에 우리 당국도 당혹스러운 표정이다. 일단 사태 파악에 주력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관광공사의 한 관계자는 “전세기 이용객 비중은 전체 유커의 3% 수준으로 이번 조치의 실질적 타격은 적다”면서도 “새해와 춘제 성수기를 앞두고 중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압박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중국 업체들도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관광객들을 모집한 중국 현지 여행사들은 당장 대체 항공편을 찾지 못할 경우 고객들에게 위약금을 물거나 환불을 해줘야 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지적이다. 전세기 불허가 지속되고 한국 관광 리스크가 자주 발생하면 중국 여행사들이 한국 상품의 취급을 꺼리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는 것이다.

앞서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30일 중국 민항국이 최근 한국 항공사 3곳이 신청한 8개 노선의 중국발 한국행 부정기 항공편에 대한 운항을 불허했다.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시해오던 중국 정부가 유커의 방한을 막으면서 한국 압박을 본격화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일명 전세기로 불리는 부정기 항공편이란 양국 간 정규 항공 노선 외에 항공사들이 수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신청해 운영하는 노선을 말한다. 지역적으로는 정규 항공편이 취항하지 않는 지방 도시에 많고, 시기적으로는 여행 수요가 몰려 정규 노선에서 다 소화할 수 없는 성수기에 부정기편을 운항한다.

당장 이번 중국 정부의 조치로 다음달 한국의 3개 항공사가 신청한 노선의 전세기 운항에 차질을 빚게 됐다. 한중간 전세기로 오가는 관광객 수는 전체의 3% 수준으로 비중은 크지 않지만 향후 파장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 1월은 중국 춘제(음력설) 연휴가 낀 달이어서 한국으로 가려는 유커 수요가 많아 국내 관광업계에게 연중 최고 대목 중 하나다. 올해 춘제에는 약 15만 6000명의 유커가 방한했다. 국내 내수경기가 장기침체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유커 방한은 가뭄의 단비같은 존재였다. 하지만 이번 중국 정부의 전세기 불허 방침에 춘제를 앞두고 유커들이 발길을 돌릴까 걱정이다. 이에 항공사는 물론 호텔, 면세점, 백화점 등 관광업계는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한편, 중국 당국은 지난달 6개월간 저가 여행 단속에 나설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지방정부를 통해 일부 지역 여행사에 한국행 여행객 수를 20% 줄이라는 구두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는 지난 7월 우리 정부의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 이후 암묵적인 금한령(禁韓令)을 내린 바 있다. 8월 포상관광, 10월 저가단체관광 제한했다. 이번이 세번째 유커 금한령인 셈이다. 이대로라면 내년 방한 유커수도 올해보다 못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 관련기사 ◀
☞ [여행] 해넘이·해맞이…번잡함 피할 '명당' 있다
☞ [기자수첩] 여행객 뺨 때리는…도 넘은 가이드
☞ '빨간국물투어' '뜨겁닭투어'…겨울여행주간 첫 시행
☞ '섬과바람' '시간여행' 등 대한민국 테마관광 10선 확정
☞ [카드뉴스] 2017 여행트렌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