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오늘 전공의 단체행동 ‘빅5’ 병원 블랙아웃 가능성↑

이지현 기자I 2024.02.20 07:56:35

전공의 비중 큰 대형병원 진료차질 불가피
일부 신규 입원 수술 환자 일정 연기 통보
정부 진료유지명령 발령…상황 예의주시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빅5’ 병원 전공의들이 오늘 의대정원 증원에 항의하며 단체행동에 나선다. 전날까지 사직서를 제출한 뒤 이날 6시부터 병원을 떠나기로 한 것이다. 이들 병원의 정상진료 일부 마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시작은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장의 소셜미디어(SNS)였다. 박단 회장은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 삼성서울의료원, 연세대세브란스병원, 가톨릭서울성모병원 등 ‘빅5’ 전공의가 전원 사직서 제출키로 합의했다며 20일 오전 6시 이후에는 병원 근무를 중단했다고 밝히며 전공의 단체행동에 불을 붙였다. 실제로 19일 서울아산병원 등 전공의들은 ‘전공의포기서’에 개별 서명 후 병원에 제출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 등 ‘빅5’ 병원의 전공의들이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며 집단행동을 예고한 가운데 18일 오전 서울 한 병원 전공의 전용공간에서 의료진 등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지난 16일 ‘빅5’ 병원 전공의 대표들과 논의한 결과 오는 19일까지 해당 병원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 이후에는 근무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전국 221개 수련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1만3000명이다. ‘빅5’ 병원에서 근무하는 전공의는 △서울대병원 740명(레지던트 569명, 인턴 171명) △연세대세브란스병원 612명(465명, 147명) △서울아산병원 578명(447명, 131명) △삼성서울의료원 525명(404명, 121명) △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 290명(232명, 58명) 등으로 총 2745명이다.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에서는 의사 인력의 30∼4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교수의 수술과 진료를 보조하고 입원 환자 상태를 점검하는 등 다양한 업무를 맡고 있다. 이들이 병원을 떠날 경우 일부 의료차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병원 측은 새롭게 입원 수술을 앞둔 환자들에게 일정 연기를 통보한 상태다. 만약의 상황 대비에 나선 것이다.

아산병원 관계자는 “외래는 대부분 정상진료를 하겠지만, 전공의가 투입되는 입원이나 수술환자의 경우 (신규환자를) 최소인원으로 줄이려는 조치”이라며 “연락한 인원이 많지 않다. 진료 차질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전체 수련병원의 전공의를 대상으로 진료유지명령을 발령했다. 그동안 각 수련병원에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 및 필수의료 유지 명령’을, 대한의사협회 등 의사단체에는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 명령을, 진료를 거부한 전공의 개인에 대해 개별적으로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데 이어 추가 조치를 단행한 것이다. 의료법 59조에 따르면 진료명령을 위반한 의료기관에는 행정형벌 없이 업무정지 15일 또는 개설허가 취소, 의료기관 폐쇄명령 등 행정처분을 내린다.

박민수 중수본 부본부장(복지부 2차관)은 진료유지명령에 대해 “말 그대로 현재 하고 있는 진료를 유지해 달라는 명령”이라며 “필수의료 유지 명령이 기관에 대해 응급과 중증, 수술 의료기능을 유지해달라고 기관장에게 내린 명령이라면, 진료유지명령은 의료인 개인에 대해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전공의들은 사직서를 내고 원내에 있다가 업무개시명령을 받으면 반짝 근무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박 차관은 “반짝 근무를 하면 명령이 사라지는 게 아니다”며 “명령은 한 번 발령이 되면 별도의 조치가 있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유효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반짝 근무해서 사라지면 또 명령을 위반하는 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매일 일일 현황을 기관으로부터 받고 있다”며 “오늘 출근했는지, 정상으로 근무하고 있는지를 현황을 당분간 받도록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의대증원 현실화

- [속보]오늘부터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강원대병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 “국민도 의사도 희망 없다” 의대 증원 반발 의사들, 촛불 들었다 - 의대 선발 3113명→4610명…지역인재전형 ‘충청권’ 부상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