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도 미래에도 韓 발전 중심은 시장경제”

김응열 기자I 2024.04.05 06:00:00

한국경제인협회, 시장경제 국민 인식 조사
10명 중 6명 “시장경제가 국가 발전 기여”
“정부, 규제 완화해 기업 활동 보장해야”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국민 10명 중 6명은 시장경제가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경제가 우리나라 전반적 발전에 기여한 이유 응답 결과. (사진=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시장조사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시장경제 국민 인식 조사’를 시행했다고 5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장경제가 우리나라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의견은 59.9%로 나타났다. ‘기여하지 못했다’는 의견은 12.8%로, 4.7배 차이가 났다.

국민들은 시장경제가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발전에 기여한 부분 중에서 세계 경제강국 진입(27.6%)과 국내 기업의 글로벌 초일류기업 성장(22.2%)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국민 소득수준 상승과 문화강국 도약이라고 응답한 이들은 각각 20.3%, 15.4%로 집계됐다.

시장경제가 우리나라 발전을 저해했던 부분으로는 경쟁사회 조성(23.4%)과 기업 영향력 확대(14.9%) 등을 꼽았다.

국민 대다수는 시장경제가 한국 경제의 미래 번영을 이끌 것이라고 봤다. ‘시장경제가 미래 번영을 이끌 가장 좋은 시스템인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인 의견’(63.5%)이 ‘부정적인 의견’(12.2%) 보다 5.2배 높았다.

시장경제의 미래 번영 견인에 대한 의견 응답 결과. (사진=한국경제인협회)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시장경제의 발전 정도와 관련된 질문에는 ‘발전했다’는 응답(73.8%)이 ‘퇴보했다’는 응답(18.6%)보다 약 4배 많았다.

시장경제를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는 ‘규제 완화를 통해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28.6%로 제일 많았다. 이어 △이해관계자간 대화와 타협 문화 조성(24.5%) △소비자 중심 정책(14.7%) △경제교육 강화(9.7%) △재도전 기회 확대(6.8%) △기업가정신 고양(4.4%)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 역할에 관해선 ‘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응답(29.5%)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 △혁신을 통한 신제품 개발(18.9%) △공정경쟁을 통한 독과점 방지(13.4%) △저출산 등 사회현안 해결 선도(12.4%) △협력기업과의 동반성장(11.4%) △투명경영 강화 등 ESG 경영 강화(10.5%) 등으로 조사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시장경제는 우리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는 핵심 가치”라며 “정부는 규제 완화와 기업하기 좋은 환경 구축으로 민간의 창의와 혁신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