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오늘 ‘美 금리인상’ 긴급 대책회의

최훈길 기자I 2018.12.20 07:35:17

기재부·한은·금융위·금감원·국제금융센터 참석
美 금리 0.25%p 인상, 한미 격차 0.75%p로 커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점에서 열린 오찬 회동에 앞서 악수를 했다.[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정부가 미국의 금리인상과 관련해 긴급 대책회의를 연다. 국내 금융시장과 내년도 경제에 미칠 파장을 진단하고 대비책을 모색할 전망이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오전 7시30분에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제58차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했다. 이호승 기재부 1차관,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정규돈 국제금융센터 원장이 참석했다. 안건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결과 및 영향 점검 등이다.

앞서 연준은 20일 오전(한국시간)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다. 올해 들어 3월과 6월, 9월에 이은 네 번째 긴축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2.25%~2.50%로 상향 조정됐다. 지난달 1년 만에 기준금리를 올렸던 한국과의 금리 격차(상단 기준)는 0.75%포인트로 다시 벌어졌다.

이번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연준은 성명서에서 금리 인상 배경과 관련해 “11월의 노동시장은 지속적으로 탄탄했고 경제활동은 강세를 보였으며 일자리도 늘었고, 실업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연준은 내년도 기준금리 인상 횟수 전망은 종전 3차례에서 2차례로 내려 잡았다. 연준은 성명서를 통해 “추가적인 점진적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했으나 과거에 없던 ‘다소’(some)라는 단어를 추가, 금리 인상 횟수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동안 시장에선 경기부양책 효과 감소, 미·중 무역분쟁 불확실성, 중국·유럽의 경제지표 부진 등으로 인한 미 경기둔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연준이 내년에 금리 인상 횟수를 줄일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앞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9일 첫 오찬 회동을 하며 정책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홍 부총리는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점을 찾아 자리에서 “우리 경제는 투자·고용·분배 지표가 부진하고 글로벌 불확실성이 상존해 내년 경제 여건이 녹록지 않다”며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조화롭게 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한은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논의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 총재도 “대외적으로 미·중 무역분쟁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둔화세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은도 우리 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기재부와 긴밀하게 협력할 것을 다짐한다”며 “필요할 때마다 부총리와 회동을 통해 경제 회생 발전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의견을 나누기 위한 노력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