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더 덥고 습하다…정부, '기후플레이션' 대응 총력전

이지은 기자I 2024.06.11 06:00:00

작년 7월 채소류 7.1% 상승…8월 과일 13.1% 급등
'극한호우' 지속…KDI "강수량 100㎜↑ 물가 0.07%p↑"
고랭지채소 작황 주시…탄저병 예방·배수로 정비 집중
전문가 "기술 투자 늘려야…정부 비축 품목 확대 검토"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더 덥고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되면서 기후 변화가 식료품 가격을 끌어올리는 ‘기후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아직 인플레이션의 불씨가 꺼지지 않은 만큼 먹거리 물가가 다시 들썩인다면 최근 2% 중후반 대까지 둔화한 전체 소비자물가에 기름을 부을 수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날씨 영향을 크게 받는 농산물을 중심으로 수급을 집중적으로 관리해 공급 부문의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의 모습.(사진=연합뉴스)
대구와 울산을 비롯해 영남 일부 지역에는 10일 올여름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졌다. 지난해(6월 17일)보다 약 일주일 이른 시점이다. 세계기상기구(WMO)가 한국 등 12개국 기상청의 기후예측모델을 종합해 내놓은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6~8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은 74~80%에 이른다. 기상청은 매년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해수면 고온 현상이 올여름 높은 기온과 많은 강수량으로 이어질 것이라 분석했다.

폭염과 호우가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재해는 지난해에도 우리 밥상을 덮쳤다. 지난해 7월에는 상추(83.3%). 시금치(66.9%), 열무(55.3%) 등 기상 상황에 예민한 채소류가 7.1% 뛰어올랐고 이듬달(8월)에는 사과(30%), 복숭아(23.8%), 수박(18.6%) 등을 중심으로 과일이 13.1%나 급등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이상기후가 농업부문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사상 최악의 폭염이 찾아왔던 2018년 여름철 배추(10㎏)와 무(20㎏) 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23.1%, 45.8% 뛰어올랐고, 포도(5㎏·47.1%)와 배(15㎏·15.2%) 등 계절 과일도 상승폭이 컸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역대 최장기간 장마가 덮쳤던 2020년에는 9월 농축수산물가격이 전년 대비 13.5%나 뛰어올라 9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는 한반도 남쪽과 동쪽에서 유입되는 저기압이 수시로 영향을 미치며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는 이른바 ‘극한호우’ 현상도 지속될 거라는 전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기상 여건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현안분석 보고서를 통해 따르면 강수량이 과거 추세 대비 100㎜ 증감하는 경우 신선식품의 가격을 밀어올려 물가 상승률이 0.07%포인트 높아진다고 추산했다.

정부는 여름철 단기 요인으로 발생하는 먹거리 물가 상승 압력을 줄이는 데 총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배추·무 등 노지채소에 대해서는 수급 관리용으로 이달 중 봄배추 1만톤(t), 봄무 5000t을 추가 비축하고 여름배추 계약재배 물량을 6만7000t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해 같은 집중호우 상황에 대비해 상추·풋고추 등 시설채소의 작황을 점검하면서도 피해 발생 시에는 재파종 비용, 출하지원금 등을 지원해 신속한 재출하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한 달에 한 번 또는 수시 개최해온 차관 주재 ‘농식품 수급 상황 점검회의’를 매주 정례화하고 여름철에는 생육 상황까지 살피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한 환경에 취약한 고랭지 채소들의 작황이 안 좋아질 수 있어 이에 사전 대비하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확산하는 탄저병 예방에 집중해 지난해 같은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면서 “시설하우스 침수에 대비해서는 각 지자체로 하여금 미리 배수로 정비 상황을 미리 점검하게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상기후가 ‘뉴노멀’이 된 상황에서 중장기적인 대응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성훈 충남대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시설원예기술, 스마트팜 등에 투자를 늘려 기상 변수에 더 적극적인 대응을 가능케 하는 생산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며 “현재 정부 비축 품목은 단기적으로 수급 변동이 심한 채소를 위주로 11개 품목밖에 되지 않는데, 국산 과일 등 체감 물가에 민감한 품목들로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