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서 부는 AI 훈풍에도…"韓 증시, 당분간 박스권"[주간증시전망]

이용성 기자I 2024.03.03 09:50:19

지난 주 코스피 0.95%↓ 코스닥·0.65%↓
외국인 순매수 지속…"대형주 하단 지지"
사상 최고치 갈아 치운 美 증시…AI로 급등
슈퍼 화요일 이후 대선 불확실성 확대 전망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미국 증시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들을 중심으로 사상 최고치를 또 한 번 갈아치우면서 고공 행진을 하고 있지만, 국내 증시는 다시 지루한 박스권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올 들어 우리 증시 상승을 이끌어온 정부의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이 발표되며 기대가 사그라졌고 실적 등 이익 모멘텀이 정체된 환경에서 지수가 오르자 밸류에이션이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증시를 이끌 긍정적인 모멘텀이 없는 상황에서 미국의 2월 고용지표와 미국 대선과 관련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슈퍼 화요일’(미국 대선에서 가장 큰 규모의 예비선거가 한꺼번에 열리는 날) 등 변수가 남아 있어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지난 29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스크린에 코스피 종가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사진=연합뉴스)
◇ 저PBR 발표 후 주간 코스피 ↓…외국인 ‘매수’


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주(2월26~29일) 코스피 지수는 25.34포인트(0.95%) 하락한 2642.36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같은 기간 5.61포인트(0.65%) 내린 862.96에 마감했다.

특히 코스피에서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대거 들어왔다. 지난 26일 정부가 추진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발표되면서 국내 증시가 주춤했지만, 외국인이 이를 기회로 살리는 모습이다. 외국인은 지난주 코스피를 8125억원 사들였다. 같은 기간 개인과 기관은 각각 1268억원, 6118억원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마찬가지로 코스닥에서 2037억원을 매수했고, 개인도 2599억원을 사들였다. 반면 기관은 3748억원 팔았다.

외국인은 특히 주로 반도체를 장바구니에 담았다. 외국인은 삼성전자(005930)를 2063억원 규모로 순매수했고, SK하이닉스(000660)도 995억원을 샀다. 이 기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외국인 순매수 순위 각각 1위와 4위에 올랐다. 이밖에 외국인은 저PBR주에 지난해 실적까지 양호했던 현대차(005380)기아(000270)도 각각 1221억원, 860억원 규모로 순매수했다.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가장 큰 매수의 이유는 일본 시장에서의 학습 효과로 판단된다”며 “3월은 주요 법인들의 주주 총회 시즌인 가운데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할 자본 배치와 주주 환원 정책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도 “기존 PBR주에 대한 비중 조절일 뿐, 외국인이 집중매수하는 대형주의 하단은 지지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AI가 이끈 美 증시…반도체 ‘훈풍’ 전망

미국 증시는 랠리를 이어가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주시하는 미국의 1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예상치에 부합하면서 안도한 시장이 인공지능(AI) 등을 중심으로 고공 행진했기 때문이다. 1일(현지시간) S&P500지수는 전장보다 40.81포인트(0.80%) 오른 5137.08로, 나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183.02포인트(1.14%) 상승한 1만6274.94에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5100선에 올랐고, 나스닥지수도 지난 2021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특히 미국의 PC 및 서버 제조업체인 델 테크놀리지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30% 이상 폭등했고, AMD와 엔비디아 등 AI 반도체 관련주들도 오름세를 나타냈다. 엔비디아는 4% 상승한 822.79달러에 장을 마감했고, AMD도 5.25% 급등한 202.64달러에 장을 마쳤다.

다만, 미국에서 불어온 훈풍이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명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시장 전체적으로는 밸류에이션이 부담스러운 국면”이라며 “4분기 실적 시즌 동안 기업들의 이익 전망치가 하향 조정됐지만, 지수는 회복세를 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간 지수를 이끈 저PBR 주 랠리와 관련해서도 “실적 개선이 함께 나타나야 유의미한 자기자본이익률(ROE) 상승이 가능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ROE가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당장 지수 업사이드는 제한적이고, 이익모멘텀이 정체된 환경에서 좁은 박스권 흐름을 예상한다”고 판단했다.

글로벌 경제 이벤트 등 변수도 존재한다. 4일부터 중국의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시작되는가 하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5일부터 의회 통화정책의 반기 증언에 나선다. 8일에는 미국 2월 고용 지표가 발표된다.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 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 시장의 시선이 쏠린다.

무엇보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둔 가운데 정치적 불확실성이 부각하며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5일에 미국 대선의 슈퍼 화요일이 대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슈퍼 화요일이 지나고 미국 대선 후보의 윤곽이 드러나면 대선 불확실성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게 증권가 전망이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작년 4분기에 3.2% 성장한 미국 경제가 올해 1분기에도 비슷한 성장세를 이어간다면, 기준금리 인하 기대는 약해질 수밖에 없다”며 “공화당 대선 경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후보 선출이 확정되면, 대선 불확실성이 시장 가격에 반영되기 시작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슈퍼 화요일 이후부터 대선 불확실성이 가격에 반영되면, 금리는 상승 압력을 받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