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자영업자 쟁탈전]與野 “700만 소상공인 잡아라”

조용석 기자I 2018.10.18 05:00:00

조직적 움직임 시작한 소상공인에 정치권 구애 ‘후끈’
민생연석회의 출범한 與…정책간담회 연 바른미래
소상공인 가족까지 더하면 1300만표…선거승패 영향
집단투표 가능성 높아진 소상공인…캐스팅보트 될까

지난 8월2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전국 소상공인 최저임금 제도개선 촉구 국민대회 모습(사진 = 연합뉴스)
[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700만명에 달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잡기위한 정치권의 구애가 뜨겁다. 정치권에서는 단합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소상공인들이 2020년 총선과 2022년 대선에서 확실한 캐스팅보트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는다.

15일 더불어민주당은 중소상공인·자영업자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 민생연석회의 발대식을 개최했다. 이해찬 대표가 직접 의장을 맡은 민생연석회의에는 소상공인·자영업자 관련 단체 대표뿐 아니라 윤호중 사무총장, 김태년 정책위의장 등 당 핵심 지도부가 참여해 힘을 실었다. 같은 날 바른미래당은 손학규 대표와 김관영 원내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과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손 대표는 “소상공인·자영업자 경쟁력을 위해 정책을 개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지난 8월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소상공인 총궐기대회에는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 정동영 민주평화당 당대표 등 국회의원 50여명이 참석했다.

정치권이 소상공인 잡기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이들이 단합된 움직임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간 별다른 조직적 행동을 하지 않았던 소상공인들은 몇 년 전 대기업들의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계기로 조직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에는 최저임금, 카드수수료 등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정치권에 적극적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최저임금위원회와 통계청에 따르면 소상공인 등 비임금 근로자는 지난 9월 기준 685만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5%에 달한다. 가족까지 더할 경우 약 1300만명으로, 전체 유권자(4290만명)의 무려 3분의 1에 달한다. 소상공인들이 단합된 표심을 발휘할 경우 선거 승패에 큰 영향을 줄수 있다. 정치권이 소상공인 정책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이유다. 또 여야 어느 정당도 아직 소상공인의 확실한 눈도장을 받지 못하고 있다. 5당 중 어디라도 소상공인 표를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얘기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무주공산에 가까웠던 소상공인들이 집단 투표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들을 위한 대책이 각 당의 주요 공약이 됐다”며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소상공인을 위한 정치권의 구애가 더욱 뜨거워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