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방 분양시장 ‘두얼굴’.. 대전 ‘후끈’, 부산 ‘썰렁’

박민 기자I 2018.05.11 05:30:00

입주물량·정부규제가 시장 갈라
청약경쟁률 톱5 중 2곳이 대전
도심 재개발 추진으로 투자 활기
조정대상지역 묶인 부산은 찬바람
분양물량 매년 늘어 매수심리 위축

그래픽= 이서윤 기자
[이데일리 박민 기자] ‘대전은 뜨고, 부산은 지고.’

지방 분양시장에서 대전지역이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반면 지난해까지만 해도 청약 열기를 내뿜었던 부산은 맥을 못 추고 있다.

11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10일까지 청약경쟁률 상위 5개 단지 가운데 2개 단지가 대전에서 나왔다. 올해 1월 대전 서구 탄방동에서 분양한 ‘e편한세상 둔산1·2단지’는 각각 69가구와 97가구 공급에 평균 321.36대 1, 241.91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탄방동 D공인 관계자는 “대전은 몇 년간 신규 공급이 거의 없었는데다 전매 제한 등의 규제를 받는 조정대상지역도 아니다 보니 수요가 많이 몰린 것 같다”고 말했다. 대전에서는 올 들어 총 665가구가 공급됐고 5만423명이 1순위로 청약했다. 평균 경쟁률이 무려 75.82대 1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다.

반면 부산 분양시장은 침체 분위기가 역력하다. 지난해만 해도 수백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단지가 속출할 정도로 청약 열기가 뜨거웠지만 올 들어 분양 단지마다 흥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2일 해운대구 우동에서 분양한 ‘해운대 센트럴 푸르지오’는 청약경쟁률이 평균 5.65대 1에 그쳤고, 지난달 북구 만덕동에서 공급한 ‘e편한세상 금정산’도 평균 2.05대 1의 저조한 성적으로 마감했다. 부산에서는 1월부터 이달 현재까지 총 2481가구 공급에 2만3765명이 청약(평균 경쟁률 9.77대 1)에 나섰다.

올 들어 대전과 부산 분양시장이 상반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입주 물량과 함께 정부 규제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부산은 현재 해운대·연제·동래·수영·남·진구와 기장군 등 7곳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여 전매 제한 및 1순위 청약 자격, 대출 규제를 받고 있다. 반면 대전은 이 모든 규제에서 비껴나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부산은 4월부터 시행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이후 주택 거래가 끊기는 등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된 상태이지만, 대전은 오히려 도심 재건축·재개발 추진으로 투자 심리가 활발하다”고 말했다.

입주 물량도 두 지역 분양시장 희비를 갈라놓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부산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신규 입주한 물량만 연평균 1만8851가구에 달했다. 올해는 이보다 더 많은 2만 3364가구가 집들이를 하고, 내년에는 올해보다 10% 늘어난 2만 5720가구가 입주를 예정하고 있다. 반면 최근 3년간 대전지역 신규 입주 물량은 연평균 5684가구에 그칠 정도로 적었다. 올해는 입주 물량이 6470가구에 불과하고, 내년은 이보다 40% 감소한 3771가구에 그친다.

윤지해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대전은 그간 신규 공급이 적었는데다 각종 규제에서도 벗어나 있어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수요까지 신규 분양시장에 몰리는 분위기”라며 “부산은 정부 규제 여파가 상당한데다 입주 물량도 많아 부산 내 유동자금이 세종이나 대구 등지의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드는 모습도 감지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