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비엠, 비관론 극복할 수 있을지 관심…투자의견 ‘홀드’-메리츠

이정현 기자I 2024.06.03 07:50:45

목표가 26만원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메리츠증권은 에코프로비엠(247540)에 대해 “이차전지 섹터에 비관론이 대세인데 올 하반기 이후 업황을 대응해야 할 시점”이라 평가했다. 투자의견 ‘홀드’, 목표가는 26만원을 제시했다.

노우호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3일 보고서에서 “현시점부터는 개선될 변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올들어 33.6% 하락하며 투자심리가 훼손된 상황이다. 올해 국내 이차전지 기업의 주가는 지수대비 상대적 약세를 기록 중인데 대외 변수 불확실성에 전기차 수요 성장률 둔화 우려 및 판매단가 하락 영향 등으로 비관적 전망이 지배적인 상황이다.

노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이 지난 1분기 실적 설명회에서 공개했던 업황 방향성은 ‘상저하중’의 기준점을 세우기에 충분했다”며 “영업실적 바닥 확인 시점은 시장 참여자들이 기대했던 시점 대비 1~2개 분기 미뤄진 모양이지만, ‘U-Shape’ 흐름의 반등은 충분해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1년간의 주요 원재료 가격 급락의 부정적 래깅효과는 1분기에서 2분기 영업실적에 충분히 반영될 것이란 메리츠증권의 진단이다. 최근 3개월간 주요 메탈가격 반등의 가격 반영시점은 최대 6개월 후인 2분기에서 3분기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6월 시점 하이니켈 양극재의 판매단가 약세 구간은 소멸 중이다.

노 연구원은 “올 상반기 최종 고객사들의 전기차 전략 수정에 해당 셀·소재 기업들의 출하에 다소 부정적 영향은 불가피하다”면서도 “에코프로비엠은 SK온 및 삼성SDI향 보장된 물량 출하에 외형 성장에는 무리가 없어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2024년 하반기 실질 금리 인하 여부, 미국 대선 결과 등 대외변수에 리스크 관리 역시 필요하나, 개선될 업황 가능성을 감안한 현 주가는 단기 낙폭과대”로 판단했다.

제2차 업황 반등을 대응하기 위한 준비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노 연구원은 “국내 소재 기업들에 신규 성장동력원은 EU 탄소중립 산업법”이라며 “에코프로비엠은 2025년 가동 목표로 헝가리에 양극재 수직계열화를 추진 중이며 유럽 셀 제조사 및 유럽에 신규투자하는 중국 셀 제조사향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한 중장기 차기 성장 동력원 확보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