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딱지투자·후원금 논란` 진영 장관 후보자 청문회…현역불패 계속?

송이라 기자I 2019.03.27 06:29:00

27일 진영·박영선·조동호 후보자 청문회
진영 후보자, 16억 시세차익 `딱지투자` 의혹
용산 개발업자에게 고액 후원금·자녀 위장전입 의혹도

진영 행안부 장관 후보자 (사진=행안부)


[이데일리 송이라 기자] 문재인 정부의 2기 내각 7명의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한창인 가운데 마지막날인 27일 진영 행정안전부, 박영선 중소기업벤처부, 조동호 과학기술정통부 장관 후보자가 검증대에 오른다. 후보자들을 향한 각종 의혹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현역 의원인 진영, 박영선 후보자의 이른바 `현역불패` 신화가 이어질 지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7명의 후보자 중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진영 후보자는 각종 부동산 투기의혹과 용산 개발과 관련된 개발업자들로부터 고액 후원금을 받은 이해충돌 논란, 자녀들의 위장전입 등 각종 의혹을 두고 송곳 검증이 예고되고 있다.

이번 청문회에서 진 후보자를 둘러싼 쟁점은 크게 세 가지다.

먼저 이른바 ‘딱지 투자’로 인한 막대한 시세차익을 남기는 등 각종 부동산 투기 의혹이다. 진 후보자의 부인은 지난 2014년 10억2000만원에 진 후보자의 지역구인 용산구 내 분양권을 받을 수 있는 토지를 매입했다. 해당 지역은 2009년 6명이 사망한 용산 참사가 발생한 곳 인근으로 개발이 멈춰 조합원이 떨어져 나가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2년 후인 2016년 재개발 사업이 재개됐고 진 후보의 부인은 135.38㎡ 규모 아파트와 상가 2개, 총 26억원대 분양권을 받았다. 2년 새 16억원에 달하는 시세차익을 얻은 셈이다. 야당은 재개발로 참사가 빚어진 자신의 지역구에서 딱지투자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린 것에 대한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이에 진 후보측은 “용산구 관내 평생 거주를 목적으로 해당 토지를 매입했다”며 “결과적으로 시세 차이가 발생한 부분은 송구스럽다”고 해명했다.

부동산 투기 의혹은 또 있다. 진 후보자가 지난 2002년 8억5000만원에 분양받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아파트를 지난해 매물로 내놓으면서 18억원의 시세 차익을 누렸다는 의혹이다. 진 후보자가 한번도 거주하지 않은 곳에서 막대한 시세차익을 누렸다는 데서 투기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진 후보자가 신고한 재산은 67억원으로 이 중 51억 원의 재산을 산부인과 의사인 배우자가 보유 중이다.

두번째는 용산 재개발 사업과 관련 있는 개발업자들로부터 받은 고액 후원금 논란이다. 이상운 효성그룹 부회장은 2008년부터 2016년 사이 3000만원의 후원금을 진 후보자에게 냈다. 효성그룹은 진 후보자 부인이 분양받은 ‘용산 센트럴파크 해링턴스퀘어’ 시공사인 효성건설을 계열사로 두고 있어 일각에서는 이해충돌 문제를 지적했다. 용산 서울드래곤시티 등을 개발·운영하는 서부티엔디(T&D) 승만호 대표 역시 같은 기간 1490만원을 후원했다.

이에 진 후보측은 “효성그룹으로부터 후원금을 받은게 아니라 모두 개인의 자격의 후원으로 이해관계 차원에서 후원받은 게 아니다. 이 부회장은 후보자의 고등학교 동기동창”이라며 “승만호 대표 역시 후보자의 의정활동과 상관없는 인물”이라고 해명했다.

마지막으로 위장전입 의혹이다. 진 후보자는 1999년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 아파트에 살면서 자신의 초등학생이던 두 자녀만 이촌동의 다른 아파트로 주소를 1년간 옮겨 위장전입 의혹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진 후보자 측은 “당시 초등학생인 자녀들의 편의를 위한 이전이었다”고 해명했다.

야당이 현역 국회의원인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를 겨냥해 “의원 봐주기는 없다”며 송곳검증을 예고하고 있어 여야간 불꽃튀는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